“문재인 정부의 경제정책은 일자리로 시작해서 일자리로 완성된다"
[로컬세계 박민 기자]청와대는 24일 오전 여민관 대통령 집무실에 ‘대한민국 일자리 상황판’을 설치하고 출입기자단에게 공개했다.
![]() |
문재인 대통령은 후보자 시절 “당선되면 일자리위원회를 설치하고 집무실에 상황판을 만들어 매일 매일 점검하겠다”는 공약을 했고 이날 일자리 상황판 설치로 취임 13일 만에 두 개의 약속 모두가 이행됐다.
일자리 상황판은 ‘일자리 양은 늘리고, 격차는 줄이고, 질을 높인다’는 문재인 정부의 정책방향에 따라 일자리의 양과 질을 대표하는 일자리지표 14개, 노동시장과 밀접한 경제지표 4개 등 총 18개 지표로 구성돼 있다.
일자리 상황판은 2개의 화면으로 구성됐다.
일자리 상황을 보여주는 메인 화면에서는 18개 지표별로 현재 상황, 장기적 추이, 국제 비교 등을 보여주고 각 지표의 분야별·지역별·연령별·성별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
메인 화면 하단에는 문재인 정부의 4대 일자리 정책의 성과(민간·공공일자리, 공공부문 정규직 전환, 청년고용, 창업)를 점검할 수 있도록 했다.
보조 화면은 18개 지표의 최근 2년간 동향을 보여주는 것으로 5초 간격으로 바뀌도록 했다.
![]() |
일자리 상황판은 우선 1단계로 일자리와 관련된 18개 지표들을 직접 입력해서 보여주고 있으나 향후 고용 관련 전산망과 연계해 각종 지표들이 실시간 자동 업데이트가 되도록 구축할 방침이다.
이날 문 대통령은 일자리 상황판의 여러 지표들을 직접 점검하는 시연을 하고 몇 가지 당부를 전했다.
문 대통령은 “문재인 정부의 경제정책은 일자리로 시작해서 일자리로 완성된다”며 “오늘 상황판 설치를 계기로 앞으로 좋은 일자리 정책이 더욱 신속하게 마련될 수 있는 계기가 조성됐다”고 언급했다.
특히 “청년 실업이 금년 4월 11.2%로 외환위기 때와 비슷할 정도로 심각하다”며 “그때와는 달리 지금의 청년실업은 구조적인 이유라서 청년들의 고통이 오래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므로 정부가 시장의 일자리 실패를 보완해주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일자리위원회는 일자리 정책이 최고의 성장전략이며 양극화 해소 정책이며 복지정책이란 점을 명심하고, 각 부처와 지자체 그리고 민간 부문과 협력해 좋은 일자리 창출에 최선을 다해 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이용섭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은 시연회에서 “대통령께서 일자리 상황을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일자리의 양과 질에 관한 새로운 지표들을 계속 발굴하고 상황판의 시스템을 발전시켜 나가겠다”며 “앞으로 일자리 상황판이 정착되면 국민들이 인터넷이나 모바일로 대통령 집무실의 상황판을 함께 볼 수 있도록 개방하는 방안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