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경기도 북부청사 상황실에서 경기북부발전전략위원회 위원들이 경기북부 10개년 발전계획 최종보고를 받고 있다. |
[로컬세계 이혁중 기자] 경기도가 미래 통일한국을 이끌어갈 경기북부 발전 마스터플랜을 공개했다.
경기도는 14일 북부청사 상황실에서 양복완 행정2부지사, 경기북부발전전략위원, 실·국장, 경기연구원 등 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경기북부발전전략위원회’를 열고 경기북부 10개년 발전계획에 대한 최종보고회를 진행했다.
‘경기북부 10개년 발전계획’은 낙후된 경기북부지역 발전의 중장기 비전을 설정하고 향후 10년간 발전을 견인하기 위해 마련된 종합 계획이다.
발전계획에는 수도권의 융복합 신성장 거점, 도농 상생의 품격 있는 공동체, 생태환경과 문화관광의 보고, 균형발전과 대륙 연계를 위한 교통인프라, 통일과 번영을 준비하는 평화·협력의 공간 등 5대 목표가 담겨있다.
경기북부를 중부권, 서부권, 북부권, 동부권 등 총 4개 권역으로 나눠 권역별 특화된 발전방향도 제시됐다. 중부권(의정부, 양주, 동두천)은 ‘북부발전신성장거점 존(Zone)’으로 정하고, 패션·섬유·가구 디자인 특화산업 육성과 반환공여지의 전략적 개발 사업 등이, 서부권(고양, 파주)은 ‘통일산업경제발전 존’으로 설정해, 테크노밸리 조성, 한류관광거점 구축, 개성공단지원 물류단지 조성 등의 사업들이 반영됐다.
북부권(포천, 연천)은 인근 지자체인 강원도 철원군과 연계해 ‘통일생태평화 존’으로 설정해 임진강·한탄강 세계지질공원 지정, 통일교육특구 설정, 친환경 에너지타운 조성 등의 사업들이, 동부권(구리, 남양주, 가평)은 인근 강원 춘천시와 연계해 ‘북한강 문화예술 존’으로 묶어 북한강변 문화예술 코리더 조성, 조선왕릉 역사 속 한걸음 트레킹, 느림의 미학 생활체험관 조성 등의 사업들이 반영됐다.
발전계획에 따라 도는 총 8조 5718억원을 들여 교통 등 총 9개 부문 73개 사업을 추진한다.
도는 이를 통해 ▲인구증가를 통한 일자리와 경제가 살아나는 경기북부 ▲통일 전진기지 및 안보·생태관광 기반 구축 ▲수도권·군사 규제완화를 통한 지역 균형발전 도모 등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도는 1월말 최종 보고서를 각 시·군에 배부해 도민들이 열람할 수 있도록 조치하고 2월에는 실국 및 시군 업무 담당자가 참석하는 워크숍을 개최하는 등 사업별 실행을 위한 세부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