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재본 부산시의회 예산특별위원회 위원장. |
[로컬세계 맹화찬 기자]부산광역시의회 박재본의원(남구3)은 지난19일 열린 제263회 임시회 기후환경국소관의 하반기 업무보고 자리에서 현재 추진중인 “부산전쟁기념관” 건립사업의 시설명칭이 잘못 사용되고 있다는 주장을 제기했다.
부산시는 금년부터 시작하여 2023년을 목표로 하여 남구 대연동 707 평화공원과 유엔묘지공원 일원 50만㎡(연면적 4만8000㎡)에 국비 1000억원을 투입해 부산전쟁기념관 건립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기념관에는 피란수도 전시실과 세계 평화유지 활동관의 주제관과 추모 전당 등의 컨텐츠를 담을 계획이다.
박재본 의원은 ‘역사를 잊은 나라는 미래가 없다’면서 후손들에게 세계평화를 기리기 위한 사업이 중요한 역사문화자산이 될 것이라고 강조하면서 부산시가 신중한 검토나 공론화 과정 없이 ‘부산전쟁기념관’이라는 사업명칭 사용을 지적했다.
즉 “기념(記念)”이라는 의미는 오래도록 기억하여 잊지 않기 위해 뒤에 어떤 일을 상기할 근거로 삼는다는 의미로서, 한마디로, 지난 일을 상기하여 기억을 새롭게 하겠다는 의지를 담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부산전쟁기념관이라는 명칭은 “전쟁을 기념”하자는 뜻으로 해설될 수 있기 때문에 당초취지와는 달리 끔찍한 오해를 사거나 잘못된 뉘앙스를 풍길 수 있다고 지적했다.
물론 세계 여러 나라에서 종전일(終戰日)이나, 휴전일(休戰日)을 기념일로 정하기도 하지만, 문제는 이번 부산시의 사업명칭이 전쟁의 시작일을 기념한다는 것인 만큼 근본적인 의미 자체가 다르다고 할 것이다.
이에 대해 박재본 의원은 “한국전쟁이 시작된 날은 1950년 6월 25일이고, 한국전쟁 휴전일은 1953년 7월 27일인데도 한국전쟁 종전일은 전쟁을 종식하고 나라의 평안과 위안이 시작된 날인만큼 이것을 기념하는 것이 당연히 바람직한 일”이라고 강조했다.
영국의 경우 매년 11월 11일을 제1차, 2차 세계대전 종전 기념일로 지정하고 이 날을 기념하기 위해 세계대전 참전국마다 11월 11일 오전 11시가 되면 2분간 묵념을 한다.
박재본 의원은 이번 지적에 앞서도 명칭문제에 대해 올바른 역사인식을 심어주기 위한 의정활동을 누구보다 적극적으로 펼친 바 있다. 지난 시정질문때, 당곡공원내 일제강점하 강제동원 실상을 규명하고 성찰함으로써 성숙된 역사의식을 고취하고자 조성된 시설을 부산시가 ‘일제강제동원기념관’이라고 명명한 것을 똑같은 이유로 ‘일제강제동원 역사관’으로 변경해야한다고 피력한 바 있다. 당시 허남식 前시장이 박재본 의원의 문제제기에 공감하면서 현재 “국립 일제강제동원 역사관”으로 명칭을 변경토록 하여 공식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후 많은 역사학자들과 시민들에게 매우 의미있는 성과로 호응을 받은 바 있다.
박재본 의원에 따르면 똑같은 실수를 반복하고 있는 현 실태를 질타하면서 이와 같이 잘못된 명칭사용은 부산시민에게 제대로된 역사의식을 심어주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부산시의 불필요한 예산낭비와 행정력 낭비를 초래하는 만큼 결코 재발되어서는 안될 것임을 분명히 했다.
박재본 의원은 “잘못 사용되고 있는 ‘부산전쟁기념관’ 명칭을 반드시 ‘부산전쟁역사관’으로 변경하고 항후에도 오페라하우스, 국제아트센터 등 크고작은 공공시설이 추진되고 있기 때문에 계획단계에서 명칭사용에 대한 공론화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한다”고 제안했다.
나아가 “공론화과정은 설문조사, 명칭위원회, 토론회 등 시설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추진될 수 있으며, 그 과정이 시민들에게 부산의 도시위상과 공공시설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는데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