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상방제 작업 사진.(서울시 제공) |
‘소나무재선충병’은 1mm이하 작은 크기의 재선충이 솔수염하늘소의 몸에 기생하다가 솔수염하늘소의 성충이 소나무 잎을 갉아먹을 때 나무에 침입해 단기간에 소나무를 말려 죽이는 치명적인 산림병해충이다.
2014년 6월 북한산 잣나무를 시작으로 재선충병이 발생해 발생지 기준 반경 2㎞에 있는 7개의 자치구가 소나무류반출금지구역으로 지정됐다.
![]() |
▲14년 재선충 감염목 발생 위치.(성북구 정릉동 산12-1) |
이후 예방나무주사를 꾸준히 추진하는 등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조사와 예방사업을 통해 작년 용산·중구·성동이 소나무류반출금지구역에서 해제됐으며 이어 이달 19일 성북·강북·중랑·광진이 모두 청정지역으로 확인됐다.
그 결과 서울시의 소나무류는 관할 구청의 확인을 거치면 타지역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시 최윤종 푸른도시국장은 “서울의 소나무가 재선충에 감염되지 않고 오래도록 건강하게 자랄 수 있게 예방나무주사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고사됐거나 무단 이동되는 소나무 발견 시, 관할 구청이나 서울시(2133-2157)로 신고하면 된다.
![]() |
▲예방나무주사 작업 사진. |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