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 진해신항(1단계)' 개발사업 본격 착수, 2031년까지 7조9000억원 투입
맹화찬 기자
a5962023@naver.com | 2022-04-19 19:06:40
대규모 컨테이너부두 9선석, 방파제 1.4㎞, 호안 8.1㎞ 등 규모로 추진
동북아시아 '스마트 물류허브' 도약 위한 첫걸음
▲부산항 진해신항 조감도. 부산지방해양수산청 제공 |
[로컬세계 부산=맹화찬 기자]부산지방해양수산청 부산항건설사무소는 부산항을 스마트 물류거점 허브항만으로 육성하기 위해 추진 중인 '부산항 진해신항(1단계)' 개발사업을 본격 착수한다고 19일 밝혔다.
이에 정부부문 기반시설 용역의 통합 착수보고회를 이날 부산항 국제여객터미널에서 열었다.
부산항 진해신항 정부부문 기반시설은 컨테이너부두 앞 파도를 잔잔하게 하는 방파제와 방파호안 3.2km, 해저 준설 시 발생하는 준설토 처리를 위한 투기장 호안 5.9km, 케이슨 등 구조물 제작에 필요한 제작장을 확보하는 사업으로 구성돼 있다.
오는 2028년까지 총 1조7000억원을 투입, 부산항이 스마트 물류허브 항만으로 도약하는데 마중물이 되는 시설 확충 사업이다.
부산항건설사무소는 앞서 올해 예산으로 정부부문 기반시설의 용역비 145억원을 확보한 바 있다. 앞으로 올해 안에 용역을 완료하고, 총사업비 협의와 턴키입찰 등 행정절차를 거쳐 내년말 착공을 목표로 추진할 계획이다.
부산항 진해신항(1단계) 개발사업은 지난 2020년12월 제4차 항만기본계획 반영 후 지난해 12월 예비타당성조사가 통과되어 사업 타당성을 확보했다. 2031년까지 총 7조9000억원을 투입해 대규모 컨테이너부두 9선석, 방파제 1.4㎞, 호안 8.1㎞ 등의 규모로 추진될 예정이다.
부산항 진해신항(1단계) 사업이 완료되면 부산항은 연간 800만TEU의 물동량 처리능력을 추가 확보하게 되어 2032년에는 연간 3200만TEU를 처리할 수 있는 세계 최첨단 스마트 허브항만으로 도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 국제적인 선박대형화 추세에 대비해 수심‧용량이 모두 커진 초대형 터미널로 건설되어 최대 3만TEU급 초대형 선박이 안전하게 접안할 수 있으며, 컨테이너부두의 모든 영역에 완전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해 항만이용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김원중 부산항건설사무소 항만개발과장은 “정부부문 기반시설사업 착수를 통해 부산항이 스마트 물류허브 항만으로 도약하는 첫걸음을 뗐다”라며 “앞으로 기반시설을 적기에 조성하여 부산항의 경쟁력을 제고하는 한편 지역경제에도 큰 힘이 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