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북항 5부두에 장기계류 중인 소형 유조선 등 선박들. 남해지방해양경찰청 제공 |
[로컬세계 부산=맹화찬 기자]남해지방해양경찰청(청장 윤성현)은 26일 부산지방해양수산청, 부산항만공사,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등 관계 기관 담당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북항 5부두 물양장에 계류 중인 중·소형 유조선의 안전관리를 위한 관계기관 회의를 개최했다.
남해해경청에 따르면 부산항 내에 계류중인 중·소형 유조선은 총361척이고 이중 부산지방해양수산청에 계선신고 후 장기간 운항을하지 않는 선박들이 약 270여척(75%)에 달하며, 이중 300여척이 북항 5부두에 모여 있다.
이번 회의는 장기간 운항을 하지 않는 선박, 선주의 연락처 재정비 및 계선신고 선박의 안전관리를 위해 계획됐다.
현재 5부두 물량장에 장기계류 선박 중 일부는 선체노후와 관리부실로 인해 해양오염사고의 위험을 안고 있다.
지난해 7월과 10월 두 차례 관리 부실로 추정되는 선박의밑바닥 파공으로 해양오염사고가 발생했을 때 선주에게 연락이 닿지 않아 사고수습과 선박처리에 애를 먹었다.
남해해경청은 북항5부두를 ‘취약해역 집중관리 해역으로 지정’해, 오염사고가 발생하면 신속한 대응을 위해 방치된 선박의 정보를 관계기관과 합동으로 조사할 예정이다. 또 관리부실로 오염사고위험도가 높은 유조선에 대한 추가적인 안전조치 방안도 검토한다.
남해지방해양경찰청 하창우 해양오염방제과장은 “북항 5부두 내 장기 계류 유조선은 해양오염사고의 위험성이 상존하는 만큼, 선주·선장 등 비상연락망 확보하고 부두 곳곳에 산재한 계선신고 선박을 집단 계류해 관리하는 방안 등 해양오염사고 예방을 위해 관계기관과 지속적으로 협력 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