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사마르칸트와 우호협력도시 협정 체결 이후 활발한 협력관계 구축

[로컬세계 = 전상후 기자] 부산시는 21일 오전 10시 시청 국제의전실에서 박형준 시장과 우즈베키스탄의 아디즈 보보예프(Adiz BOBOEV) 사마르칸트 주지사가 만나 부산과 사마르칸트 주(州) 간 우호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고 22일 밝혔다.
박 시장은 보보예프 주지사에게 “바쁜 방한 일정에도 부산을 첫 번째로 방문해 주신 데 대해 감사와 환영의 인사를 드린다"며 "1992년 수교 이후 경제, 문화, 관광 등 다양한 분야에서 대한민국의 중요한 파트너로 협력하고 있는 우즈베키스탄은 2019년 4월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외교 관계가 격상됐으며, 역사적으로도 오랜 관계를 맺은 국가다”라며 환영 인사를 건넸다.
이에 보보예프 주지사는 “바쁘신 일정에 귀한 시간을 내어 따뜻하게 환영해 주신 시장님께 감사드린다”며, “오랜 시간을 이어온 한국와 우즈베키스탄의 우정과 협력의 역사 위에서 오늘 부산과 사마르칸트가 더 깊은 인연을 맺게 되어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라고 화답했다.
이어 박 시장은 “양국 관계에 발맞춰 부산시는 우즈베키스탄을 중심으로 한 중앙아시아와의 전략적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국가 간 상호 이해 저변을 넓히기 위해 2016년부터 매년 시민·공공기관 등으로 구성된 '유라시아 도시외교단'을 파견해 유라시아 지역에 부산을 알리고 민간 외교활동을 펼치고 있다”라고 말했다.
부산시는 2023년에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와 우호협력도시 협정을 체결해 활발히 협력하고 있다.
지난해 9월에는 협정 체결 1주년을 기념하고 상호 문화 교류를 활성화하기 위해 음악회를 개최했으며, 후속 사업으로 각각 양 도시의 이름을 붙인 ‘우호 상징 정원’ 조성도 추진 중이다.
이와 연계해, 시는 ‘글로벌 허브도시 부산’의 도시 외교의 외연을 실크로드 인근 유라시아 전역으로 확대하고 도시별 특성에 맞는 추진 전략(경제·물류, 문화·관광 등)을 개발해 지역별 교류 역량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이에 보보예프 주지사는 “부산시와 사마르칸트는 경제, 문화, 관광, 무역, 투자 등 여러 분야에서 협력할 주제가 많다고 생각한다”며 “우리는 부산과 교류협력을 위해 함께 일할 충분한 준비가 되어 있다. 적극적인 협력을 제안드린다”라고 강조했다.
박 시장은 지난해 '유라시아 도시외교단'의 주력 활동 중 하나로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서 부산 유학생 유치 설명회를 개최한 것을 언급하며, “부산시는 대학과 협력해 유학생들의 학업과 생활을 돕고, 졸업 후 취업까지 연계되는 지원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유학하기 좋은 도시 부산'에 대해 많은 관심과 지원을 당부드린다”라고 말했다.
부산에는 24개의 대학들 중 지난해 기준으로 1만 5000여명의 유학생이 재학 중이다. 그 중 우즈베키스탄 학생들은 1200여명으로 중국, 베트남에 이어 세 번째로 많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