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월 7개 기관과 위기가구 발굴지원 업무 협약을 체결한 박준희 관악구청장(왼쪽 네번째)/ 관악구 제공
[로컬세계 = 임종환 기자]서울 관악구가 지난 2월 경찰, 소방 등 7개 기관과 체결한 다자간 협약을 바탕으로,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위기가구를 신속하게 발굴·지원하고 있다.
21일 관악구에 따르면 최근 관내 행운동에 거주하는 김 모 씨의 가정이 경찰의 현장 확인과 구청의 신속한 대응으로 복지 서비스를 연계받았다. 김 씨는 치매를 앓는 노모와 정신질환을 가진 동생을 돌보며 생활하고 있었지만, 복지 제도를 알지 못해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었다.
주민들의 반복된 신고를 접수한 낙성대지구대 경찰이 가정을 방문해 실태를 파악했고, 즉시 구청과 복지관에 지원을 요청했다. 관악구는 해당 가정을 ‘고난도 통합사례관리대상자’로 지정하고, 경제적 지원과 함께 전문기관 치료, 돌봄 서비스 등을 연계해 지원했다.
또 고층 건물에서 투신을 시도한 20대 청년 김 모 씨도 당곡지구대 경찰의 구조와 이후 관악구의 긴급 개입으로 생명을 구했다. 김 씨는 도박중독과 부채 문제로 가족과 갈등을 겪으며 사회적으로 고립된 상황이었다. 경찰은 청년의 상황을 구청에 긴급 신고했고, 구는 김 씨에게 긴급 생계비와 후원 물품을 지원했다.
이후 김 씨는 관악구로 거처를 옮기고, 구의 통합 사례관리 대상자로 등록되어 도박중독 치료와 법률 상담, 금융 지원 등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다.
관악구는 위기가구 발굴을 위한 실태 점검도 병행했다. ‘2023~2024년 국민기초생활보장 중지·제외자’ 중 1,847가구의 실태를 조사한 결과, 886가구에 긴급 맞춤형 복지를 제공했고, 328가구는 신규 공적 급여 대상자로 발굴해 서비스를 연계했다.
아울러 구는 지난해 제정한 「위기가구 발굴 활성화에 관한 조례」를 통해 위기 이웃을 신고한 주민에게 포상금을 지급하는 제도를 도입, 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강화하고 있다.
박준희 구청장은 “현장 사례를 통해 위기가구 발굴에 있어 주민과 유관기관 간 협력의 중요성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긴밀한 공조 체계를 통해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모든 구민이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로컬세계 / 임종환 기자 lim4600@naver.com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