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세계 = 김병민 기자] 경기 용인특례시는 지난 10일 시청 비전홀에서 지역 내 13개 지하시설물 관리기관과 ‘지하시설물 통합 안전관리 협의체’ 협약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협약에는 국가철도공단, 경기철도㈜, 삼성전자㈜, KT, 한국전력공사, 한국수자원공사, 한국지역난방공사 등 주요 기반시설 관리기관이 함께 참여했다.
협약에는 ▲지하시설물 정보체계 구축을 위한 정보 공유 ▲통합 지표투과레이더(GPR) 탐사 용역 수행 및 비용 분담 ▲지반침하 사고 예방 등 지하시설물 안전관리 전반에 관한 내용이 담겼다.
시는 협약에 따라 통합탐사를 먼저 시행하고, 각 기관은 시설물 관리 범위에 따라 비용을 분담하는 방식으로 협력한다.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따르면 GPR탐사는 5년마다 1회 이상 지하 시설물 주변 지반의 공동(空洞)을 탐사해야 하는 제도로, 시는 2026년부터 2027년까지 두 차례에 걸쳐 통합탐사를 추진할 예정이다.
시는 탐사 결과 공동이 발견되면 원인을 조사하고, 해당 시설물 관리기관이 복구 비용을 부담하도록 할 방침이다.
앞서 시는 올해 4월부터 두 차례에 걸쳐 관계기관 회의를 열고, 통합 GPR탐사 방식과 지역 내 지하시설물 현황, 협의체 구성 방안 등을 논의해 왔다.
이상일 용인시장은 “이번 협약으로 지반침하 사고 발생 시 관계기관과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체계가 마련됐다”며 “통합탐사를 통해 사회·경제적 비용 절감과 교통 혼잡 완화 효과를 기대하며, 앞으로도 시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지하시설물 관리 체계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로컬세계 / 김병민 기자 bmk8899@naver.com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