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개 하천 중 80% 가까이 생활용수·수영 가능 수준
정책 수립·수자원 관리 근거자료 기대

[로컬세계 = 고기훈 기자] 경기도는 ‘2024년 경기도 수질평가보고서’를 통해 도내 주요 49개 하천의 79.7%가 ‘좋은물(1~2등급)’로 평가됐다고 18일 밝혔다. 이는 2023년 76.7%보다 3.0%포인트 개선된 결과다.
조사는 2024년 1월부터 12월까지 남한강, 북한강, 한강, 안성천, 시화호 등 한강권역 내 49개 하천 133개 지점을 대상으로 환경부와 함께 매월 실시됐다. 평가에는 동일 지점의 정례 모니터링이 적용됐다.
평가 항목은 △하천생활환경기준 목표 수질 달성도 △연평균 수질 변화 추이 △Q-GIS(오픈소스 지리정보시스템)를 활용한 수계별 오염도 분석 △최근 10년간 수질 변화 경향 △도내 10개 호소의 연도별·수계별 수질 개선율 및 영양상태 등이다. 핵심 지표는 항목별 정량평가를 통해 종합했다.
조사 결과, 한강수계 15개 중권역 가운데 경안천, 의암댐, 홍천강, 청평댐, 팔당댐, 임진강 상·하류, 한강 잠실, 한강 하류 등 9개 중권역은 모든 조사 지점에서 ‘좋은물’로 확인됐다. ‘좋은물’은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 3.0㎎/L 이하로, 정수처리 후 생활용수나 수영 용수로 활용 가능한 수준이다.
최근 3년간 ‘좋은물’ 달성도는 2022년 71.4%, 2023년 76.7%, 2024년 79.7%로 개선세가 이어졌다. 연속 개선은 중권역 전반의 수질 관리 강화 효과로 풀이된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2018년부터 매년 수질평가보고서를 발간·배포하고 있다. 보고서는 도내 하천·호소의 수질개선 정책 수립과 수자원 관리에 참고자료로 쓰일 전망이다.
김동기 물환경연구부장은 “보고서가 하천·호소의 수질개선 정책 수립과 수자원 관리를 위한 근거자료로 폭넓게 활용되길 기대한다”며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물 환경 조성을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연구를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로컬세계 / 고기훈 기자 jamesmedia@daum.net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