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농가가 인식하는 한우자조금의 필요도는 84.3점으로 전년 대비 감소하였음. - 대의원은 필요도 점수가 전년 대비 15.0점 감소한 79.0점으로 평가됨. |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는 한우자조금사업에 대한 한우농가 및 소비자의 인식조사, 경제적 효과분석을 통해 사업의 성과를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한우자조금 사업추진 방향을 개선해 나가기 위해 추진된 ‘2021년 한우자조금 성과분석 연구’ 최종보고서 내용을 발표했다.
실적을 바탕으로한 경제적 분석 결과, 소비홍보사업으로 인한 2021년 한우자조금(거출금+보조금) 1원당 한우농가 수입 증가액은 단기적(1개월)으로 4.8원, 장기적(4개월 누적)으로 44.4원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홍보사업은 단기에 도매가격의 0.5%, 장기에는 4.8%만큼 기여한 것으로 추정되었고, 한우고기 소비량으로 환산해보면 단기에 1,371톤(소비량의 0.6%), 누적으로는 1만2,636톤(소비량의 6.0%)의 소비량 증진에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됐다.
한우농가와 소비자를 대상으로한 대내외적 성과분석에서 ‘한우자조금 필요성’ 점수는 84.3점으로 전년(92.2점)대비 하락했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홍보 매체 중 TV광고가 효과적인 매체로 평가받았다.
![]() |
▲홍보 매체 중, TV 광고는 한우의 ‘이해도’, ‘우수성’, ‘신뢰도’ 향상에 효과적인 매체로 평가받음. - 전반적으로 TV 광고를 통한 사업 홍보가 효과적일 것이라는 응답이 높게 나타나지만, TV 시청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유튜브 등의 온라인 시청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고려하였을 때 온라인 활동 강화 필요. |
전반적으로 TV 광고를 통한 사업 홍보가 효과적일 것이라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지만, TV 시청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유튜브 등의 온라인 시청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고려하였을 때 온라인 활동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온라인 홍보(유튜브 및 SNS)에서의 홍보 예산이 줄었음에도 그 효율성은 적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 |
▲한우 소비 홍보의 방향성보다는 운영 채널에서의 예산 비중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됨. |
한우자조금 관계자는 "소비홍보, 교육 및 정보제공, 수급안정 등 주요 사업에 대한 평가지표를 개발했고, 향후 실질적인 평가를 바탕으로 사업을 발전시켜갈 계획"이라며 "이번 분석연구를 통해 사업별 성과를 분석하고 보완사항을 도출했으며, 향후 효과적인 한우자조금사업의 추진방향을 수립하는데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결과 보고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 홈페이지 정보마당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