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세계 최도형 기자] 인천시가 ‘도시기반시설물 관리시스템 통합 개선’을 위해 GIS 플랫폼 기반의 ‘도시기반시설물 관리체계(UIS)’를 도입한다.
UIS는 용이한 행정과 시민 편의 증진을 위해 전국 지방자치단체 중 처음으로 도입하는 것으로 땅 속 안전과 관련된 정보 통합과 공유 기능이 강화되고, 신설된 안전관련 부서와의 협업체계 구축이 가능해 진다.
시는 24일 시청 영상회의실에서 지하시설물관련 부서장들이 참석한 가운데 전성수 행정부시장 주재로 UIS 사업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시는 이 자리에서 정보관리에 맞춰진 기존 시스템을 오는 2016년 1월까지 시민 편의를 업(UP) 시킬 수 있도록 공유와 활용에 방점을 둔 혁신적인 도시기반시설물 관리체계의 구축 로드맵을 공개했다.
기존의 도시시설물관리를 위해 구축해 온 도시기반시설물 관리체계는 복합적인 도시변화의 반영과 공간적 정책결정이 어렵고, 자료관리 중심으로 시스템이 구축돼 있어 도시 안전과 시민편의를 위한 정보 활용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시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이번 UIS사업을 추진하게 됐다.
UIS사업이 완료되면 땅 속 정보 통합‧공유 기능은 물론 부서간 협업체계 구축, 도시정보화에서 소외됐던 강화군, 옹진군 등의 섬 지역과 인천경제자유구역(IFEZ)인 송도, 청라, 영종지구에서도 지표굴착공사 시 유관기관과 인·허가 부서를 방문할 필요 없이 온라인 처리가 가능해 진다.
또한, 도시기반시설물 관리체계가 플랫폼 기반으로 전환되면서 ▲1억여 건의 공간 빅데이터(2014년 구축) 활용 ▲공간정보플랫폼 통한 시설물관리체계 업무공통기반 활용(35여 종의 업무템플릿과 브이월드, 항공사진, 네이버, 다음 등 26종 베이스맵) ▲도로굴착업무의 100% 사이버 민원화로 80%이상 시간 절약 ▲가스, 통신, 전기 등 23개 유관기관과의 협의기간 대폭 축소 등이 가능해 진다.
시는 앞으로 ‘도시기반시설물 관리시스템 통합 개선’이 완료되면 개방형 클라우드 GIS포털과의 연동을 통해 인천시 도시정보화 수준이 진일보해 다양한 도시기반시설물 콘텐츠와 융합되는 플랫폼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전성수 행정부시장은 “방대한 도시정보를 플랫폼 기반에서 공유와 협업을 극대화 시키는 이번 사업이 정부3.0 실현이고 행정혁신”이라며 “특히, 안전에는 원도심과 신도시, 섬지역의 기준과 가치가 다를 수 없는 만큼 안전한 인천과 시민 편의를 위해 최선을 다해 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