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로컬세계 조윤찬 기자]40∼50대 중년층 40%가 감정 기복이 심한 기분장애 ‘조울증’을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조울증’에 대해 최근 5년간(2011년~2015년) 심사결정자료(건강보험과 의료급여)를 분석한 결과 2015년 진료인원은 약 9만2000명, 진료비용은 약 1150억원으로 매년 8.4%, 5.7%씩 증가(2011년 이후 연평균 증가율)하고 있다고 19일 밝혔다.
40~50대 중년층이 전체 진료인원 3명 중 1명 이상을 차지했다. 2015년 기준 40대는 전체 진료인원의 20.8%로 가장 많이 차지했으며 50대 19.2%, 30대 16.8%, 20대 13.5% 순이었다.
진료인원이 가장 많이 증가한 구간은 70세 이상 노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70세 이상 비중은 2011년 8.8%에서 2015년 13.5%로 4.7%p 늘어났다.
최근 5년간(2011년~2015년)의 건강보험과 의료급여 심사결정 자료에서 나타난 ‘조울증‘의 진료 추이를 살펴보면 진료인원은 2011년 약 6만7000명에서 2015년 약 9만2000명으로 약 2만6000명(38.3%)이 늘어 연평균 증가율은 8.4%를 기록했다.
총진료비는 2011년 약 921억원에서 2015년 약 1149억8000만원으로 약 228억8000만원(24.8%) 증가해 연평균 5.7%의 증가율을 보였다.
한창환 전문심사위원은 “조울증은 우울증에 비해 비교적 젊은 나이에 발병한다”면서 “사회적 편견 등으로 인해 진료를 기피하고 심각한 상황에 이를 수 있으므로 주위의 관심과 적극적인 치료 권유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조울증’은 들뜬 상태인 ‘조증’과 우울한 기분이 지속되는 ‘우울증’이 번갈아 가며 나타나는 정신장애로 ‘양극성 장애’로도 불린다. ‘조울증’은 극단적인 기분상태의 변화로 인해 예측 불가능한 돌발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아 ‘우울증’보다 심각하다고 알려져 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