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결과보고서 피감사기관과 협의 주장 나와
문제해결보다 횡령사건 제보자 찾기 혈안
[로컬세계 최원만 기자] 경기도가 위탁운영 중인 장애인 판매시설의 횡령사건 <경기도 위탁업체 관리 부실 도마 올라>과 관련해 피감사기관인 위탁법인 관련자, 위탁시설장이 모여 감사결과 보고서에 대해 협의를 했다는 주장이 나와 논란이 일고 있다. 더욱이 이를 취재하는 기자와의 전화통화에서 담당공무원이 내부고발자가 누구냐고 되묻는 등 제보자 찾기에 급급한 모습만 보였다.
본지가 해당 사건을 보도하자 경기도 관련 부서는 횡령사건의 사실 여부 및 위탁사업자에 대한 내부감사가 진행됐지만 감사과정에서 석연치 않은 모습이 속출하고 있다.
위탁시설 관계자에 따르면 경기도가 감사보고서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피감사기관인 위탁법인 관련자, 위탁시설장이 모여 감사결과 보고서에 대해 협의를 했다는 것이다. 경기도가 ‘짜고 치는 고스톱’, ‘제 식구 감싸주기 감사’를 펼쳐 횡령사건을 마무리 하려고 한다는 내용이다.
또한 횡령사건을 파악한 경기도가 사법기관에 직접 고발하지 않아 위탁시설 관계자가 경찰에 수사를 의뢰한 점도 석연치 않다.
현재 횡령사건은 위탁시설관계자가 경찰에 고발 접수해 수사진행 중이며 사법기관이 경기도에 관련 자료요청을 했지만 담당공무원이 휴가중어서 요구한 자료가 늦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경기도가 횡령 문제에 대한 신속한 일처리보다는 사건 축소에 목 메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다.
여기에 횡령금액을 축소했다는 주장도 나왔다. 경기도가 확인한 횡령금이 1400여만원에 달하지만 이는 2012년도부터 2013년 12월까지 전산 조작으로 횡령한 금액에 불과하다. 2014년부터 올해 3월까지 반납처리된 금액은 아직 밝히지 않고 있어 횡령한 금액은 더욱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사건의 제보자는 총 횡령금이 4000만원에 달한다고 주장해 사법기관의 철저한 수사가 요구되는 이유다.
경기도와 위탁기관이 횡령사건의 투명한 처리보다 제보자 찾기에 급급한 모습을 보이는 점도 문제다.
경기도청 관련 업무 담당자는 기자와의 통화 중 횡령사건 제보자가 누구냐고 질문을 하는 등 위탁기관의 비리를 ‘발본색원’해야 할 공무원이 내부고발자 색출하는 데 더욱 신경을 쓰는 듯한 인상을 보였다.
경기도로부터 위탁을 받은 기관 또한 내부 고발자를 찾기 위한 작업에 들어가 직원들끼리 서로 말조심하며 쉬쉬하고 있는 분위기인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