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병석 의원. |
박병석 국회의원(새정연·대전서갑)은 5일 국회에서 열린 경제인문사회연구원 국정감사에서 “국책연구기관들의 청년인턴채용 제도는 업무습득을 통한 우수인력 양성과 청년고용 활성화에 도움이 돼야 하는데 인턴기간이 종전 11개월에서 지난해부터 5개월로 단축돼 인턴 본인은 물론 연구기관에도 별 도움이 되지 않고 있어 전면적 제도 개편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어 박 의원은 “정부가 청년인턴을 많이 채용했다는 실적을 올리기 위해 채용기간을 2014년부터 11개월을 5개월로 축소했다”며 “이 때문에 인턴 근무가 끝난 이후 당사자는 실업급여도 못 받고 다른 직장을 가려해도 경력을 인정받지도 못하는 등 무늬만 인턴제도”라고 비판했다.
현행제도 아래에서는 최소 경력 6개월 이상이라야 실업급여나 다른기관 이직 때 경력을 인정 받을 수 있다.
박 의원은 “그 대안으로 청년인턴 채용기간을 늘리고 예산범위내에서 각 연구기관들이 탄력적 운영을 하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경제인문사회연구회과 23개 국책연구기관이 2015년 청년인턴 490명 채용계획 대비 8월말 현재 435명 채용(88.7%) 했지만 예산은 43억 3000만원 대비 22억 9000만원만(49.3%) 집행했다”며 “이는 경인사에 채용된 인턴들의 중간퇴사 등 잦은 교체가 원인으로 이에 대한 근본적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청년들의 사회 진출에 실질적 도움을 주는 청년인턴 제도가 되기 위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면서 “최소한 실업급여 수급 가능하고 경력이 인정될 수 있도록 제도를 보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