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7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정당, 종교, 시민단체 관계자들이 한 자리에 모인 가운데 (사)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이하, 민화협) 주최로 ‘4.27판문점선언, 국회 비준 동의를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됐다.(사진=이건용 인턴기자) |
[로컬세계 고기훈기자/ 김연경·이건용 인턴기자]4·27 판문점선언에 대해 국회가 앞장서 비준통과를 당면과제로 삼아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17일 국회의원회관에서 한반도 평화를 한 목소리로 지지하는 정당, 종교, 시민단체 관계자들이 한 자리에 모인 가운데 (사)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이하, 민화협) 주최로 ‘4.27판문점선언, 국회 비준 동의를 위한 모색 정책토론회'가 개최됐다.
이날 더불어민주당 송갑석 국회의원은 “판문점선언에 대한 국민들의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면서 “이번 선언이 한반도 평화와 비핵화에 실질적인 영향을 줄 수 있도록 국회가 앞장서 비준통과를 당면과제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창민 정의당 부대표는 "국회 차원의 공식적인 협의기구 구성"을 강조했다.
정책토론회 좌장을 맡은 고유환 동국대학교 북한학 교수는 “그동안 남북간 합의 사항은 지속적으로 실천될 수 없는 상황이 많았다”고 설명하고 “판문점선언은 이 같은 현안들을 재정리해 남북의 합의를 재구성한 기본협정”으로 의미를 부여하며 “오늘 국회에서 정당·종교·시민단체 관계자들이 한 데 모여 비준동의를 이야기하고 이와 관련된 법률적 이행 관계를 토론하는 자리가 희망적”이라고 밝혔다.
![]() |
▲문희상 국회의장이 17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판문점선언 국회비준 정책토론회’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
천주교 서울대교구 민족화해위원회 김훈일 신부는 “평화의 과정이 중단 없이 전진하면 좋겠다. 하지만 남북간 위기는 언제든 찾아올 수 있기 때문에 민족적 사안이라는 관점에서 판문점선언에 대한 사회적 합의와 통합이 구현될 수 있도록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하며 국회비준 입장을 확인했다.
김은주 한국여성정치연구소장은 "판문점 선언의 제도적 틀에 대한 협의 주체간 진정성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한편 문희상 국회의장은 이날 축사를 통해 “남북과 북미간 정상회담은 한반도의 70년 적대관계를 해소하는 전기를 마련했다”고 말하고 “특히 4.27판문점선언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동북아 안녕에 기여할 단초이다. 따라서 이번 선언이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 실현으로 이어지도록 국회의장으로서 혼신의 노력을 다할 것이다”고 천명했다.
김홍걸 민화협 대표 상임의장은 개회사 모두발언에서 입법실현을 통한 항구적인 한반도 평화 체제 보장을 지적하며 4.27판문점선언의 국회비준을 촉구했다.
![]() |
▲민화협 김홍걸 대표 상임의장이 개회사를 통해 ‘판문점선언 국회비준’을 촉구하고 있다. |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