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이 12일 정부세종청사 고용부 기자실에서 기자브리핑을 열고 있다. 사진은 e-브리핑 화면 캡쳐. |
이기권 장관은 “공공기관과 금융기관은 공공성이 강한 만큼 정부의 감독을 받으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정부로부터 제도적 보호와 재정적 지원에 힘입어 대기업과 더불어 상위 10%를 구성하고 있다”며 “특히 공공부문은 고용안정까지 더해져 정년 60세 시행의 최대 수혜자인만큼 국민 전체, 미래세대를 고려할 책임이 크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러한 현실을 감안하여 총연합단체와 공공, 금융산업 노조들은 성과연봉제 도입을 무조건 반대할 것이 아니라 오히려 선도적으로 임금체계를 개편하고, 이를 통해 민간부문으로까지 확대되도록 하는 변화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장관은 개별 기관의 노조가 무조건 도입 반대 및 협의를 기피할 것이 아니라 우려되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해법과 보완방안을 고민하는 진지한 자세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그는 “공정성에 대한 우려가 있다면 공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평가체계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 사측과 함께 토론해서 만들어나가면 될 것”이라며 “실제로 임금체계 개편에 성공한 기업들의 사례를 보면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서로 논의해서 도입했고 그 결과 이직률이나 경영성과 측면에서 개선되는 효과가 있었다”고 지적했다.
또한 “공공기관의 기관장 및 주요 간부들은 좀 더 가슴으로 다가가 적극적으로 노조를 설득하고 근로자들을 이해시키는 노력을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임금체계 개편은 궁극적으로 노사가 상생하는 것이므로 노사가 머리를 맞대고 함께 실행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마련하는 노력이 선행돼야 한다”며 “정부도 임금체계 개편 컨설팅 제공, 시장임금 정보제공을 위한 임금정보 인프라 구축, 임금관련 연구 분석과 사례발굴 전파 등을 통해 노사의 자율적 임금체계 개편노력을 최대한 지원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