낡은 아파트 새는 물 모르쇠 고급 아파트 조경엔 ‘팍팍’
해당 의원 선정심의위원 참여…공정성 논란
![]() |
▲오산시가 운동시설 및 조경시설물 설치에 5000만원을 지원한 아파트단지. 사진 최원만. |
오산시는 공동주택단지 내 노후시설물의 보수 등을 위해 2억 9400만원의 예산을 배정하고 관내 아파트 및 빌라 등을 대상으로 공모한 결과 37개 단지가 신청했었다.
이 가운데 300가구 이상의 의무단지는 대원동 B·C아파트, 신장동 D아파트가 선정됐으며 비의무 단지는 5곳이 뽑혔다.
의무단지로 뽑힌 3곳의 아파트단지는 모두 시의원들이 거주하고 있어 특혜 의혹이 불거졌다. 김명철 의원이 살고 있는 B아파트에는 어린이놀이시설물 설치사업으로 5000만원, 장인수 의원의 C아파트에는 운동시설 및 조경시설물 설치에 5000만원, 김영희 의원이 거주하는 단지에는 상수도관 교체공사로 5000만원이 투입됐다.
시의원들이 거주하는 아파트 단지가 뽑힌 것 이외에도 여러가지 정황상 특혜 의혹이 일고 있다.
오산시의회는 지난 6월 조례를 개정해 공동주택보조금지원 범위를 7년에서 12년으로 연장한 바 있다. 김명철, 장인수 두 의원이 거주하고 있는 B·C아파트는 입주가 시작된 지 7년을 막 넘겼다. 조례 개정 전 보조금 지원이 결정되면서 ‘보조금 막차’를 탄 셈이다. 일각에서는 올 초 상정 예정이었던 개정 조례안이 6월까지 늦춰진 이유가 이와 무관치 않다는 이야기도 흘러나온다.
더욱이 장인수 의원은 공동주택보조금 선정심의위원으로 참여해 논란이 커지고 있다. 자신이 살고 있는 아파트에 대한 심의를 직접 한 것으로 선정과정에 잡음이 불거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보조금이 꼭 필요한 곳에 사용됐다고 보기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장인수, 김명철 두 의원이 사는 아파트는 입주한 지 7년이 겨우 지났으며 오산시내에서는 손꼽을 만한 고급형 아파트로 알려졌다. 반면 이번에 탈락된 E아파트는 17년 이상 노후된 아파트로 옥상에 물이 새고 있지만 다른 사업을 지원받았다는 이유로, 놀이시설이 없는 F아파트는 지난해에 이어 놀이시설 설치 지원을 요청했지만 탈락됐다.
오산시 세교동 주민 A씨(56세, 남)는 “오래되고 낡은 아파트를 대상으로 실질적으로 필요한 사업을 선정해야 하는데 시의원 자신들의 아파트에 호화스러운 조경시설, 운동시설을 위해 시민의 혈세를 쓰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한 행정”이라고 꼬집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