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세계 라안일 기자] 중국세관에 상표권 등 지식재산권을 등록하는 국내 기업이 증가하고 있다.
관세청에 따르면 6월말 기준으로 중국세관에 등록된 국내 기업의 지식재산권 건수는 172건으로 이중 28건은 올해 새로 등록된 것이다. 연간으로 환산할 경우 약 56건으로 지난 3년간 연평균 등록건수인 24건에 비해 2.3배 증가했다. 또한 2012년 16건, 2013년 17건, 2014년 39건 등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중국해관총서에 의하면 ‘14년 중국세관이 지식재산권 침해가 의심돼 압류한 화물의 99% 이상이 등록된 권리를 기초로 한 세관의 직권조치 단속에 의한 것으로 지식재산권 보호를 위해서는 중국세관에 지식재산권을 등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 때문에 관세청과 특허청은 13일 정부대전청사에서 지식재산권 보호를 위한 제2차 정책협의회를 개최하고 한국 상표(K-브랜드) 보호를 위한 협업을 강화하기로 했다.
양 기관은 지난해 12월 ‘K-브랜드 보호 종합대책’ 수립 이후 올해 2월 인천공항세관 지식재산권 침해물품 합동단속을 시작으로 K-브랜드 보호 환경 조성을 위한 중국·홍콩 및 태국·베트남 세관과 지식재산권 보호 실무회의(4월~6월)를 연달아 열어 협업에 나서고 있다.
특히 이날 열린 제2차 정책협의회를 통해 아시아 각국 세관 및 미국, 유럽 등 선진국 세관과 협력으로 우리기업의 브랜드를 보호하기 위한 협업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또 중국·홍콩.태국·베트남 세관 지식재산권 등록제도 매뉴얼 발간, 세관 공무원 초청연수, 모조품 식별세미나, 해외 모조품의 국내반입 및 유통단속 등을 할 예정이다.
관세청 성태곤 통관지원국장은 “한국 브랜드 보호를 위한 해외세관과의 협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관세국경 단계에서 한국 브랜드를 확실하게 보호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특허청 권오정 산업재산보호협력국장도 “양 기관이 하반기 협력과제를 차질없이 추진해 부처간 협업 성공사례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