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협이 현수막까지 걸고 나선 것은 지난해 연근해 어업 생산량이 92만톤에 그쳐 44년만에 처음으로 100만톤이 붕괴되는 극심한 조업난에 직면함에 따라 어민들의 분노가 점차 고조되고 있기 때문.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이 지난 31일 최종 집계한 2016년도 연근해어업 생산량은 전년대비 12.7%나 감소한 92만3000톤에 그친 것으로 확인됐다. 역대 최대 생산량을 기록했던 1986년도의 173만톤과 비교하면 절반가량 감소한 수준이다. 또 연근해 어업 생산량이 100만톤에 미치지 못한 경우는 44년만에 처음 발생한 일이다.
이처럼 자원고갈 현상이 가시화되는데도 정부가 바다모래 채취를 지속함에 따라 어민과 수협의 반발이 더욱 고조되고 있다.
특히 정부가 당초 국책용 건설사업에 한정해서 채취를 시작했던 것을 민수용으로 전환한 것도 모자라 계속해서 기간연장을 추진하는 것을 두고 “건설, 골재업자에 헐값으로 모래 넘기기에 급급한 정부가 개탄스럽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건설업자들이 바다모래를 선호하는 것은 다른 골재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다는 이유가 주요한 것으로 알려짐에 따라 어민들의 분노는 더욱 커지고 있다.
대체골재를 충분히 조달할 수 있는데도 싸다는 이유로 바다모래를 퍼올려 어민들만 희생을 강요받고 있다는 것이다.
지난 2008년부터 서해와 남해 배타적경제수역에서 골재채취를 시작한 이래 지난 연말까지 총 1억495만㎥에 이르는 막대한 바다모래가 퍼올려졌다.
당초 국책사업에 한정해 단기간 채취 후 종료 예정이었던 골재 채취기간은 지금까지 세차례에 걸쳐 연장됐고 정부는 또다시 기간연장을 추진하고 있는 실정이다.
어민과 수협이 반발하는 것은 정부가 대체골재개발, 골재수입 등 대안 없이 반복적으로 기간연장(2년→8년 4개월)과 채취물량 확대(3만5200㎥→6만2357㎥)에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골재채취업자들의 돈벌이 수단으로 전락하고 건설업자들만 배불리는 왜곡된 골재수급 현상이 빚어졌다는 것이 어민과 수협의 입장이다.
수협 관계자는 “바다모래 채취 전면 중단과 기존 골재채취 해역의 원상 복구가 관철될 때까지 물러서지 않을 것”이라며 정부와 골재업계 및 건설업계에 강력하게 대응해 나가겠다”고 피력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