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학박사 최무웅 건국대학교이과대학 명예교수 |
인간은 언제까지 지구에 남아 있을 수 있을까? (How long can humans remain on Earth?)에 대한 것은 대단히 주요한 것이다. 지구역사가 46억년으로 현재까지 오면서 크게는 동식물 등 종의 변화기 수없이 있어왔다는 것은 지구의 에너지변화 즉 대형으로 네 번의 빙하기와 지구표면에 운석으로 인해 2억 동안은 산소가 없는 즉 무산소 시대가 동식물의 변화가 수없이 탄생 성장 전멸을 거쳐오는 역사 속에 인간이 태어나 현재까지는 존속하고 있는 기간이 대단히 짧은 지구역사 시대이다.
이런 현상의 지구의 에너지 변동에 의해 동식물의 전멸과 신종의 산생이 수없이 이루어졌다는 것은 지구의 화석에서 그 증거를 알 수 있다. 인간이 쇼킹하게 기억하는 것에서 중생대 주리기시대에 거대공룡이 전멸하는 사건 등이 지구의 에너지 변동으로 인한 결과이다.
빙하기와 간빙기로 인한 에너지 변동으로 지구생태 환경이 크게 변동했다는 것이다. 물론 인간이 탄생한 지도 지구의 나이에 비하면 조족지혈 정도가 될 것이다. 지구의 화석은 우리가 지질변화 시대의 지구의 에너지 변화에 관한 연구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인간이 지구에 태어난 것은 화석으로 추정하면 수십만년 전이라고 예측하고 있는 것만 보아도 예측이 가능하다고 말할 수 있다. 지구의 지각변동으로 인한 동식물의 멸종과 탄생이 거듭되어 오면서 신종의 동식물이 존재하게 되었다.
2020년 말 세계국가들은 중국의 우한발 지구화석에서 1억년 전의 바이러스가 화석에서 다시 깨어나 인간을 공격하기에 엄청난 지구인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런 현상이 약 1갑자년(60년)주기로 유행병이 창궐하는 형상이 C0VID-19가 창궐하여 지구생태계의 인구를 감축하는 작용을 하고 있으며 아직까지 활동을 강하게 하고 있다는 것은 인간을 멸종하기 위해 에너지 변동이 현재 바이러스 창궐하고 있다. 이런 바이러스는 주기적 변화에 대한 것은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에너지 변동으로 인한 것이라고 강하게 말할 수 있다.
이런 현상은 지구의 지질시대 지구생태환경 동식물의 종들이 주기적으로 멸종 탄생 성장을 거듭해온 것이 그 증거이다. 사막은 일발적으로 연간 강수량이 150mm이하의 강수량 지역을 사막이라 하고 있다. 사막에도 비가 집중적이면 순간 강물이 흘러 어류가 급성장하지만 강물이 마르면 어류는 모레 속으로 파고들어가 다음 강물이 불어날 때까지 잠을 자고 있다. 조건이 맞으면 순간에 성어가 되는 환경변화에 적응하는 것은 지구생태계 변화의 증거이며 현재 크게 창궐하는 바이러스도 같은 현상이라고 말할 수 있다.
지구의 지질연대표에 의히면 중생대 주라기에 지구에 주로 번식하던 공룡이 순간 사라진 현상을 여러설이 있으나 자구의 오랜 시대에 무산소 시대엔 동물이 존재하지 못한 것과 같이 주라기 시대의 거대공룡이 순간 멸종한 것도 지구의 에너지 변동이 강해졌기 때문이라고 예측하는 것과 같이 지구의 생태환경 변화가 심해 생태계의 동식물이 교체되는 시기가 있었다는 것 때문에 지구의 생태환경이 크게 요동친 결과라고 분석하고 있다.
지구의 생태환경의 변화는 주기적으로 발생한 것이 결국 생태환경을 변화시킨 결과이다. 이와 더불어 지구의 내외활동 즉 지구의 표면이 이동하는 현상이 지구표면 지형을 변화시킨 현상으로 환경변화가 생태계의 질서가 크게 교란를 거처온 것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석회암은 바다에서 생성된 것이라는 증거가 지구의 다양한 지형구조를 형성하였기 때문이다.
지금의 에너지 활동은 지구의 형성과 동시에 46억년 동안 자연적 인위적 변화로 인해 지구의 생명체들이 크게 변동하는 결과가 지구의 생명체가 다양한 종의 변화가 있었기 때문에 우리는 지구의 주인인 인간의 멸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충격적 현상이 인간이 우려하는 현상이지만 불확실한 것이라고 생각하고 편하게 생활하지만 지구의 에너지 변동으로 인간은 멸종의 시대를 서서히 맞고 있다고 예측가능한 현상이다.
이학박사 최무웅 건국대학교이과대학 명예교수. 땅물빛바람연구소대표. 한국갈등조정학회장. (사)해양문화치유관광발전회고문. New Normal Institute 연구소장. 구리시 미세먼지대응대책위원회 위원장.[mwchoi@konkuk.ac.kr]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