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15일 문재인 대통령(왼쪽)이 ‘아세안 스마트시티 전시회’의 한국 부스를 방문해 국가시범도시의 주요 솔루션을 관람하고 있다.(국토부 제공) |
국토교통부는 지난 11~15일 싱가폴에서 열린 ‘아세안 스마트시티 전시회’에 참가해 한국형 스마트시티를 홍보하고 세계 18개국으로부터 주목을 받았다고 16일 밝혔다.
지난 15일에는 문재인 대통령이 한국 부스를 방문해 스마트시티 정책 추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날 문 대통령은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는 백지상태에서 우리의 최첨단 ICT 기술과 도시개발 경험을 최대한 응집해 세계 선도적인 스마트시티 모델을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전시회에는 한국 외 싱가폴, 미국, 중국, 일본, 호주, 러시아 등 총 7개 국가가 참가해 각국의 스마트시티 현황과 아세안 국가들과의 스마트시티 협력 계획 등을 다채로운 형태로 전시했다.
우리 정부의 경우 RFID를 활용한 대형 멀티영상과 증강현실을 적용한 슬라이딩 스크린을 전시매체로 활용해 한국형 스마트시티를 소개해 큰 호응을 얻었다. 대부분의 타국에서는 판넬과 디스플레이를 활용했다.
정부 관계자는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인 세종·부산의 비전과 주요 스마트 솔루션 등을 집중적으로 홍보했다”며 “아세안 국가들과의 스마트시티 협력 현황과 말레이시아 코타키나발루 시범사업 등 향후 계획도 전시했다”고 설명했다.
![]() |
▲‘아세안 스마트시티 전시회’의 한국 부스를 방문한 정상들이 국가시범도시의 주요 솔루션을 관람하고 있다. |
전시회는 전 세계 18개국 정상들이 한자리에 모인 국제행사와 함께 개최된 만큼 문재인 대통령과 아세안 각국의 정상, 정부 관계자들이 방문해 한국의 스마트시티를 흥미롭게 관람했다.
특히 로드리고 두테르테 필리핀 대통령은 한국 전시관을 3차례나 찾았다. 그는 한국의 스마트 솔루션 가운데 실시간으로 정보를 수집해 국민의 안전과 상수도 수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에 큰 관심을 나타냈다.
그밖에도 싱가포르 방송국 미디어코프, 중국 중앙방송(CCTV) 등 주요 언론사들이 인터뷰를 요청하기도 했다.
이성해 국토부 도시정책관은 “이번 전시회를 계기로 한국형 스마트시티의 아세안 국가로의 진출을 더욱 확대하고 우수한 기술을 보유한 우리 중소기업의 해외 진출 또한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