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충청권 등 광역철도 구축…광역 교통체계 혁신
![]() |
▲서울역에서 출발을 앞두고 있는 KTX 열차. 라안일 기자. |
국토교통부는 향후 10년간(‘16~’25년) 국가철도망에 대한 투자계획을 담은 ‘제3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안)’을 마련, ‘철도산업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했다고 17일 밝혔다.
제3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은 철도건설법에 따른 10년 단위 중장기 법정계획으로 철도망 구축의 기본 방향과 노선 확충계획, 소요재원 조달방안 등을 담고 있다.
3차 철도망 계획에 따라 기 추진 중인 고속철도 사업의 적기 완공, 일반철도 고속화를 통해 고속·준고속 철도 서비스가 전국으로 확대된다.
![]() |
▲고속철도·고속화철도 직접 영향권. 자료제공 국토교통부. |
우선 기존 고속철도에 대한 연장구간 건설과 수도권 고속철도 완공(‘16년말)을 통해 전국 주요거점을 연결하는 고속철도망을 구축하고 고속열차의 원활한 운행을 위한 병목구간 해소, 고속철도 서비스 지역 확대를 위한 연결선 사업이 추진된다.
철도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지역에 고속화철도(200km/h 이상)를 건설하고 낙후된 기존 일반철도를 고속화(230km/h)하는 사업도 추진된다.
광역철도(급행노선 포함)를 구축해 주요 도시에 광역철도 서비스가 확대된다.
수도권광역급행철도 건설을 통해 수도권 주요거점간 30분 통행을 실현하고 이미 시행 중인 10개 수도권 광역철도 사업도 적기에 완공한다. 또한 충청권·대구권 등 지역 광역통행을 위한 철도망도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 |
▲권선택 대전시장이 시청 브리핑룸에서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한 충청권광역 철도망 사업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오영균 기자. |
비전철과 전철이 혼재돼 전철운행이 불가능한 주요 간선을 전철화시키는 사업을 추진해 장항선·경전선·동해선·경북선의 열차속도 향상, 전철운행, 열차운영편성 증가 등이 가능한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운영효율성이 확보될 전망이다.
산업단지·물류거점을 연결하는 대량수송 철도물류 네트워크도 구축된다. 핵심 물류거점인 항만, 산업단지, 내륙화물기지를 간선 철도망과 연결하는 인입철도 건설이 추진된다.
국토부는 제3차 철도망계획에 따라 철도망 확충에 총 70조원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했다.
부문별로는 고속철도 8조원, 일반철도 38조원, 광역철도 24조원이 소요되며 재원 구성은 국비 43조원, 지방비 3조원, 민자유치·공기업·기타 24조원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따라 철도망 확충이 차질 없이 이루어질 경우 고속·준고속철도 철도망이 전국적으로 확대된다”며 “철도망의 효율화 사업에 중점을 두어 낮은 비용으로 철도 서비스 수준이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제3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은 다음주 중 관보에 고시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