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찾은 취재차량 이동 막고 행패, 되레 ‘폐비닐 불법매립의혹만 증폭’
생곡주민대책위 최고 실권자 박모(여)씨 “막아, 막아” 한 마디에 ‘순식간에 취재차 퇴로 차단’
환경단체 관계자 “취재진에 행패부린 것 보니 폐비닐 수천톤 불법매립의혹 의심 더 들어”
“부산시가 어떻게 처리하는지 끝까지 예의주시하겠다” 밝혀
![]() |
▲ 3사공동취재팀 소속 기자 2명은 지난 14일 오후 3시쯤 김종원 대표를 만나기 위해 승용차 편으로 부산 강서구 생곡동 생곡재활용센터를 찾았다가 취재차량의 퇴로를 차단당한 채 오도가도 못한 채 서 있다. 취재팀은 경찰이 오기 전까지 공포에 휩싸였다. (전면 왼쪽 흰색 승용차가 취재차량) 실질권력자 박씨와 우측의 생곡재활용센터 간부들이 취재기자에게 "찍지 말라"며 삿대질을 하고 있다. 3사 공동취재팀 |
[로컬세계=부산 김의준 기자, 서울일보=김광수 기자, 내외경제TV=전옥표 기자]
부산지역 광역매립장인 생곡쓰레기매립장에 현행 법상 매립이 불가능한 폐비닐이 최소 4000t 이상 불법으로 매립됐다는 의혹이 일고 있는 가운데, 불법행위자로 의심 받는 생곡재활용센터(부산시자원재활용센터) 임직원들이 반론을 듣기 위해 센터를 찾은 공동취재진에게 위력을 이용해 취재차량의 이동을 가로막는 등 행패를 부리는 바람에 되레 의혹이 증폭되고 있다.
(로컬세계 등 3사 2022년 11월 6일자, 로컬세계/김의준 기자 mbc471125@daum.net 보도)
3사공동취재팀 소속 기자 2명은 지난 14일 오후 3시쯤 생곡재활용센터 김종원 대표를 만나기 위해 승용차 편으로 부산 강서구 생곡동 생곡쓰레기매립장 진출입로 인근에 위치한 재활용센터를 찾았다.
취재진이 재활용센터를 방문한 것은 김 대표가 이달 초부터 취재진의 전화를 받지 않는 것은 물론, 카카오톡, 문자메시지를 통한 폐비닐 불법매립의혹건과 관련한 반론청취 및 입장을 묻는 취재진의 질의에도 묵묵부답이어서 불가피하게 현장을 찾게 된 것이었다.
또 김 대표는 지난달 24일 3사 취재팀의 다른 한 기자와 전화인터뷰 과정에서 “폐비닐을 이용해 생산한 고형연료(SRF)는 어느 회사에 납품했느냐”라고 질문에 대뜸 “그걸 왜 물어보나, 아니 그걸 물어보려면 와서 물어봐야지, 일면식도 없으면서 전화해가지고… 인터넷에 다 떠 있고 … (생곡매립장 뒤쪽 폐비닐 더미 1만t)그거 내가 쌓아 놓은 것도 아니다. 고형연료 만드는 비용을 (한국순환자원유통지원센터가)안 줘서 내가 부담을 한다”라고 설명한 바 있다.
이런 상황 속에서 3사 취재팀의 기자 2명은 지난 14일 오후 부산시 공유재산이면서 생곡주민대책위(생곡폐기물처리시설대책위원회)가 위탁받아 운영 중인 생곡재활용센터를 찾았던 것이다.
![]() |
▲ 올해 초까지 악성 폐비닐 수천t이 적치돼 있다가 최근 몇 개월 사이 깨끗하게 정리된 부산 생곡쓰레기매립장 진출입구 위편 300여m 지점의 우측에 위치한 옛 채석장 전경. 3사 공동취재팀 |
폭이 10m가 넘는 생곡재활용센터의 정문은 바리케이드가 없이 오픈된 상태였으며, 경비원도 보이지 않아 ‘방문 용건’을 말할 곳도 없었다.
취재팀은 정문 주변에 위치한 사무동 앞 다른 차량 옆 공간에 주차한 뒤 사무실로 들어가기에 앞서 잠시 재활용센터 공장 전경을 휴대폰에 담았다.
국가보안시설이 아닌 생곡재활용센터는 법적으로 촬영이 금지돼 있는 시설물이 아니며, 사무동과 공장동 전체가 노출돼 있어 정문 바깥의 도로에서도 자유로운 전경 촬영이 가능하다.
그 때 취재팀을 발견한 김 대표와 배용환 생곡주민대책위원장이 다가와 다짜고짜 “허락도 없이 주차를 왜 했냐 차 빼라. 허락도 없이 사진을 찍네, 여기가 당신 땅이냐…”라고 화를 내며 큰 소리로 윽박질렀다. 곧이어 임직원 7~8명이 몰려나왔다.
취재팀은 어이가 없었지만 충돌을 피하기 위해 우선 차를 빼려고 했다.
그러나 생곡주민대책위의 최고 실권자로 알려진 박모(여) 씨가 “차 못 나가게 막아 막아…”라고 지시하자 누군가 금방 승용차 1대를 취재차량 뒤편에 갖다 붙이는 바람에 꼼짝달싹 못하는 처지가 됐다.
취재팀이 “재활용센터 전경을 찍은 것에 불과하다, 이건 취재방해 행위다”라고 항의했지만 소용없었다.
취재팀이 취재용 차량을 가로 막은 승용차를 촬영하자, 센터 임직원 및 생곡대책위 임원들은 “초상권 침해다. 사진 좀 보자. 여기가 당신 땅이가. 누구 맘대로 사진을 찍나. 사진 지워라…”라며 위력을 이용해 생떼를 부리며 압박을 가했다.
실권자 박씨는 “XX, 기자가 아무데나 들어오나 기자가, … 대가리 XX 대가리 진짜…”라며 협박성 말을 했다.
재활용센터 측은 ‘무단 주거침입’이라며 경찰에 신고했다.
취재진도 취재방해 현상이 계속 이어지는 데다 신변의 위협을 느껴 ‘112’에 전화를 걸어 “생곡재활용센터에 현장취재를 나왔는데, 취재차량을 가로막고 있어 차를 뺄 수도 없는 등 여러 명으로부터 취재방해 및 협박을 당하고 있다”라고 신고했다.
이날 상황은 경찰 순찰차 2대가 출동한 뒤 취재차량을 움직이지 못하도록 막고 있던 “승용차를 빼라”고 재활용센터 측에 지시를 한 뒤에야 50여분 만에 신체적 충돌 없이 종료됐다.
부산시 공유재산을 위탁받아 운영 중인 생곡재활용센터 임직원들의 이날 위력을 이용한 취재방해는 이해할 수 없는 행위이다.
국가보안시설이 아닌 재활용센터 외부 전경을 찍은 데 대해 ‘초상권 침해’, ‘사유재산 침해’ 운운 하는 건 생떼에 다름 아니다.
![]() |
▲ 부산 강서구 생곡동 생곡마을 앞 왕복 4차로 도로변에서 바라본 생곡재활용센터(부산시자원재활용센터) 전경. 3사 공동취재진 |
김 대표의 입장도 앞뒤가 맞지 않는다. 지난달 하순 다른 기자와 전화 인터뷰를 할 때는 “일면식이 없으니 와서 물어보라”고 한 사실이 있다.
김 대표는 또 이달 초순 해당 기자가 여러 차례 건 전화를 받지 않는가 하면, 카카오톡 등 문자메시지 질의에도 일체 응답을 회피하다가 정작 현장을 방문한 취재진에게 성실한 설명 대신 취재차량의 퇴로를 차단한 채 ‘사진 촬영’을 들먹이며 온갖 거친 말과 욕설로 대한 것은 명분 없는 행위에 다름 아니다.
한 환경단체 관계자는 “부산시의 공유재산이고 만천하에 공개돼 있는 생곡재활용센터 외부 전경을 기자는 물론 시민 누구나 자유롭게 찍지 못한다는 건 억지 주장에 불과하다”며 “현장을 찾아온 취재진의 차량을 막고 집단의 힘으로 험하게 대한 것을 보니 오히려 폐비닐 수천톤 불법매립의혹사건과 관련해 뭔가 숨기는 게 있는 듯한 의심이 들며, 향후 부산시가 어떻게 처리하는지 끝까지 예의주시하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