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6일 오전 11시40분 대전시의회 기자실에서 2016년 대전시의회 의정결산 기자회견이 열리고 있다. (왼쪽부터 조원휘 부의장, 김경훈 의장, 김경시 부의장) |
[로컬세계 조윤찬 기자]“현장중심의 의회, 생산적인 의회, 연구하는 정책의회 구현에 앞장서겠다.”
제7대 후반기 대전시의회가 시민의 입장에서 공정성을 가지고 철저한 사전준비와 현장검증을 통해 정책을 평가하고 대안을 제시해 문제점을 해결하는 깊이 있는 의정활동으로 전반적인 민생의정을 펼쳤다는 평가와 함께 2016년도 한해 의정활동을 모두 마무리했다.
대전시의회는 ‘시민과 동행하는 열린 의회’라는 핵심가치로 오늘보다 더 나은 대전 발전과 시민 행복을 위해 소통하고 경청하는 자세로 소통하는 의회, 열심히 일하는 의회, 시민을 섬기는 의회상을 정립하면서 제7대 의회 전반기 닻을 내리고 후반기 돛을 올린 한해를 장식했다.
올해 대전시의회는 121일간 2차례의 정례회와 4차례의 임시회를 운영하면서 351건의 안건을 심도 있게 처리했다. 그 중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의원발의 조례가 104건으로 이는 제6대 의회 같은 기간 50건보다 100% 이상 증가한 실적을 거뒀다.
또한 정책현안에 대한 발전방안 모색을 위해 정책토론회·간담회 개최 건수도 47회로 제6대 의회 같은 기간 20회에 비해 135%가 늘었다. 이 가운데 조례발의로 23%가 반영됐다. 이는 의원들의 일하고 연구하는 왕성한 의정활동으로 역량이 강화된 모습을 보여준 결과로 풀이된다.
행정사무감사를 통해 제6대 의회와 같은 기간 425건보다 31% 증가한 558건의 지적사항에 대해 시정과 교육행정에 적극 반영해 줄 것을 요구했다. 그 중 특히 시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한 핵폐기물의 조기이송과 안전보관 상시 감시체계 확립과 취.정수장의 내진성능평가, 공중화장실 안전관리실태에 대한 지적이 돋보였다.
이밖에도 사회적 약자와 시민생활과 직결된 광역BRT체계의 문제점 개선, 사회복지시설 보험가입제도의 보완책 마련, 예지중고사태 정상화 대책 마련과 학교 부실급식 예방을 위한 개선방안 등 각종 현안에 대한 송곳 질의와 합리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면도 보여줬다.
또 민의를 전하고 시민의 불편사항 해결을 위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46명의 의원들이 서대전역 활성화 방안과 일자리창출.서민경제 활성화 방안, 학교급식단가 상향 조정과 청소년들의 노동인권 근본대책 마련을 촉구했고 ‘시정질문’을 통해 10명의 의원들이 사용후 핵연료에 대한 지자체 차원의 대책 마련과 민간도시공원 조성사업의 형평성 논란 등 시민의 목소리를 대변했다.
특히 지난 10월에는 언론의 관심 속에 역대 의장 초청 간담회를 처음으로 갖고 대전시와 대전시의회의 발전 방향은 물론 지역현안 해결을 위한 고견을 듣는 소통과 경청의 자리가 마련돼 언론으로부터 ‘보기 좋다’는 찬사를 이어졌다.
김경훈 의장은 “올 한해 관심과 믿음으로 성원해 주신 대전시민과 동료의원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를 드린다”며 “정유년 새해에도 기본이 바로 서고 원칙과 상식이 통하는 의회상 정립에 매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안사업 추진과 관련 “도시철도 2호선 트램건설이나 호남선고속화사업 등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나고 있는 사업에 대해서는 힘을 보태고 답보상태에 머물러 있는 미진한 사업에 대해서는 지역의 역량을 결집하고 시민과의 소통을 통해 관철되거나 정상 추진돼 시너지효과를 낼 수 있도록 의회차원의 관심과 적극적인 지원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