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번째 주제발표자 김미선 성남시금융복지상담센터장은 “가계부채 발생원인 1순위가 주택구입비와 임대료이고 2순위가 교육비 3순위가 낮은 임금인데 이는 정부의 경제정책과 부동산정책의 실패, 불안정한 노동시장과 임금소득의 실질적인 하락, 부의 재분배 기능을 하지 못하는 사회보험제도 등의 문제로 정부정책 실패와 복지정책 취약에 원인이 있다”고 지적하면서 “국가와 지방정부가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금융소비자 보호전담기구 신설, 금융소비자 보호 법제화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두번째 주제발표에 나선 김철호 사회적협동조합민생네트워크 상임이사는 “우리사회 저소득·취약계층의 과도한 가계부채문제를 사회적 책임의 일환으로 바라봐야 한다”며 서울시와 성남시 등 전국의 9개 지자체들의 금융복지상담센터 설치·운영 사례들과 성과들을 설명하면서 대전시 차원의 금융복지상담센터 설립을 제언했다.
박 의원은 “금융취약계층의 가계부채문제를 서둘러 해결하지 않으면 우리사회의 양극화 문제를 해소하기 어렵다”며“이들에 대한 공적지원을 위한‘대전시 금융복지상담센터’의 설립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의지를 내비쳤다.
한편 2016년 말 우리나라 전체 가계부채가 1344조원에 달하고 대전의 경우도 예금취급금융기관의 가계대출 잔액(2016년말)이 23조원이 넘는 상황이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