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세계 전승원 기자] 수도권매립지 사용 기한을 놓고 광역 단체 간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서울시와 경기도는 처리 용량에 여유가 있는 점을 고려해 2044년까지 사용 기한 연장을 주장하고 있는 반면, 인천시는 2016년 수도권매립지의 사용 종료가 불가피하다고 맞서고 있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3일 기자회견을 열고 “수도권매립지의 2016년 매립종료 기한은 준수돼야 한다는 입장을 재차 밝힌다”며 “인천시민의 희생만 강요하는 현재 수도권매립지 정책은 근본적으로 재검토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또 “이를 위한 선제 조치로 매립지 소유권과 면허권의 인천 이양, 매립지관리공사의 인천시 이관, 매립지 주변지역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정책 추진 등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유 시장은 인천시장, 서울시장, 경기도지사, 환경부 장관의 4자 협의체 구성을 제안했다. 매립지 지분이 서울시와 환경부에 있지만 이로 인한 고통분담은 오롯이 인천시민이 지고 있어 이에 대한 근본적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는 취지다.
이날 기자회견장에서는 수도권매립지의 대체 후보지도 공개됐다. 제 1후보지는 서구 오류동이며 제2∼5후보지는 연수구 송도동, 옹진군 영흥면, 중구 운연동, 옹진군 북도면이다.
그러나 3년∼5년의 시간이 걸리는 후보지 조성으로 인근 주민의 강한 반발이 예상돼 실질적으로 추진될지도 불투명한 상태다.
한편, 수도권매립지는 수도권 66개 시·군·구 중 58개 지자체의 쓰레기를 처리하고 있으며 하루 평균 쓰레기 반입량은 9453t에 이른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