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부, 기재부의 즉각적인 지원과 국민체육진흥법 개정 촉구
▲ 박기영 의원이 평창올림픽 국가지원 촉구 결의문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전경해 기자) |
[로컬세계 = 전경해 기자] 강원특별자치도의회(의장 김시성) 의원 일동이 5일 ‘2018 평창동계올림픽 유산 관리 국가지원 촉구’ 결의문을 발표(박기영 의원 낭독)했다. 도의회는 결의문을 통해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유산 관리에 대한 문화체육관광부와 기획재정부의 즉각적인 지원을 촉구하고 국회에도 국민체육진흥법 개정을 촉구했다.
이번 결의문 발표를 계기로 6년 넘도록 해답을 찾지 못하던 평창 동계올림픽 유산 관리에 대한 도민의 요구가 강력히 전달되고, 국가적 지원을 이끌어내기 위한 도의회의 노력도 한층 더 탄력을 받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음은 평창동계올림픽 유산 관리 국가지원 촉구 결의문 전문-
강원특별자치도의회 의원 일동은, 세계인의 축제이자 국가적 행사로 치러져 전 국민에게 감동을 선사했던 2018 평창 동계올림픽대회 유산 관리에 대한 국가적 지원을 촉구한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은 대한민국이 1988 서울 올림픽을 개최한 지 30년 만에 두 번째로 개최한 올림픽이자 첫 번째로 열린 동계올림픽으로, 평창 동계올림픽을 통해 대한민국은 4대 메이저 국제스포츠 대회인 하계올림픽, FIFA 월드컵,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동계올림픽을 모두 개최한 세계 다섯 번째 국가가 되어, 명실상부한 스포츠 강국으로써의 위상을 확고히 할 수 있었다.
평창 밤하늘에 화려한 오륜기를 일사분란하게 수놓은 기네스 기록의 1,200대의 드론과 개막식 스타로 세계의 시청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심어주었던 인면조까지, 평창 동계올림픽의 개막식은 1988 서울올림픽 개막식의 굴렁쇠 소년 못지않은 감동이었다. 전통적인 메달밭인 쇼트트랙은 물론 스켈레톤과 스피드스케이팅에 이르기까지 우리 대표 선수들은 값진 금메달로 국민들의 염원에 화답했다. 이처럼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은 대한민국 국민 모두가 함께 즐긴 국가적 규모의 행사였음이 분명했다.
그러나 축제가 끝나고 난 자리에 경기장을 비롯한 올림픽 유산들이 남았고, 소중한 유산에 대한 관리ㆍ운영 문제는 올림픽이 끝난 지 6년이 넘도록 좀처럼 답을 찾지 못하고 있다. 대부분의 동계올림픽 경기장과 시설 등 유산은 도비를 통해 강원개발공사가 위탁관리하고 있지만, 명확한 활용 방안을 찾아서 비전 있게 운영한다기보다는 어쩔 수 없이 도가 떠맡아 도민의 세금으로 떼우고 있는 형편이다. 반면, 1988 서울올림픽 경기장과 시설 등은 국민체육진흥법에 의한 국민체육진흥공단을 통해 국가가 직접 관리하고 있다. 이러한 기반 위에 서울올림픽공원은 정부가 운영하면서 체육, 문화, 역사, 교육, 호텔 공간이 어우러진 종합공원으로 발전했다.
▲ 강원도의회 의원들이 결의문 발표 후 평창올림픽 국가지원을 촉구하고 있다. |
역대 다른 동계올림픽에 비해서도 크게 성공했다고 평가받은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의 소중한 유산들이 더 이상 이런 취급을 받아서는 안 된다. 1988 서울 올림픽과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두 대회 모두 우리 국민들에게 감동의 순간으로 기억된 국가적 행사이자 소중한 올림픽 유산이므로 다르게 관리되어서는 안 된다. 이에 강원특별자치도의회 의원 일동은, 그 뜻을 모아 다음과 같이 결의한다.
하나, 문화체육관광부는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유산 관리에 대해 더 이상 시간을 지체하지 말고 즉시 지원할 것을 촉구한다.
하나, 기획재정부는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을 단순한 스포츠 메가이벤트 중 하나로 인식하지 말고 1988 서울 올림픽과 같은 국제 올림픽으로 인식하여 동등하게 판단할 것을 촉구한다.
하나, 국회는 국민체육진흥법의 조속한 개정을 통해 평창 동계올림픽의 유산이 서울 올림픽의 유산과 동일하게 관리받을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할 것을 촉구한다.
2024. 11. 5. 강원특별자치도의회 의원 일동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