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시청 전경. |
[로컬세계= 김병민 기자]경기 여주시는 용인반도체클러스터의 용수로 문제에 대한 여주지역에 거주하는 시민사회단체 및 시민들이 상생을 위한 행동에 나섰다.
지난 5일 천송동 여주문화원 1층 회의실에서 용인반도체 클러스터의 상생방안 대책 회의를 가졌다. 이날 참석자들은 38년간 서울시와 인근 지자체에 맑은 물을 공급하기 위해 중첩규제를 감내하며, 여주시를 구하기 위한 결단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용인반도체클러스터 공업용수 취수장 인근 마을 주민들의 피해 보상은 마땅히 해야 하며, 수도권의 맑은 물을 공급하기 위해 여주시가 들이는 예산과 노력에 대한 보상으로 규제를 최소화 해야 한다고 주민들이 주장하고 있다.
여주시는 그간 상수원 보호를 위한 각종 규제로 인해 지역발전에 제한이 많았던 만큼, 입지규제 완화 및 산단 조성, 하수처리시설 지원등의 상생방안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대해 산업통상자원부는 8월 12일 용인 반도체 산단의용수시설 설치 문제의 조속한 해소를 위해 ‘용인 반도체 산단 용수시설 TF’ 2차 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국토부, 환경부, 경기도, SK하이닉스 관계자가 참석했다.
금번 회의를 주재한 산업부 주영준 산업정책실장은 여주시 상생방안에대한 관계기관의 조속한 검토를 요청하는 한편, 용수시설 관련 인허가의 신속한 처리를 여주시에 지속 요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여주시는 "용인반도체클러스터가 여주시에 상생 방안을 제시해야 되며, 여주가 침체되고 발전하지 못한 것은 여주에 규제만 가한 국가책임이고 이제 국가가 그에 대한 해결방안을 내놔야 한다"고 지역 단체들이 주장하고 나섰다. "용인반도체클러스터 공업용수 취수장 인근 마을 주민들도 피해 보상은 마땅히 해야 하며, 수도권의 맑은 물을 공급하기 위해 여주시가 들이는 예산과 노력에 대한 보상으로 규제를 최소화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는 2027년 가동을 목표로 SK하이닉스가 총 사업비 120조원이 투입되는 반도체 분야 민간 투자 프로젝트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