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 건강·미래 지키기 위해 끝까지 함께”

[로컬세계 = 고기훈 기자]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친환경 학교급식 체계와 재배농가 보호를 위해 현장 행보에 나섰다.
김 지사는 13일 경기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의 친환경 부추 재배 농가를 찾아 생산자, 학부모 모니터단, 영양교사들과 함께 부추 수확과 포장 작업을 했다. 김 지사는 이날 현장에서 친환경 농산물의 생산 과정을 확인하고 재배농가의 목소리를 들었다.
간담회에서 김 지사는 “경기도형 친환경 먹거리 체계는 다음 세대에 남겨야 할 신뢰이자 책임”이라며 “교육청 방침이 보류됐지만 완전 철회가 아니기에 아이들의 건강과 미래를 지키기 위해 끝까지 함께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제가 있는 한 경기도 친환경급식의 후퇴는 없다”고 강조했다.

농장주 박기현 씨는 “경기도로부터 농민기본소득과 ‘농어업 333프로젝트’ 지원을 받고 있다”며 “이런 지원이 친환경농업을 지속하는 데 큰 힘이 된다”고 밝혔다. ‘농어업 333프로젝트’는 3년 내 소득 30% 증대를 목표로 310명 농어업인을 선발해 2026년까지 90억 원을 투입, 경영분석·맞춤형 컨설팅·교육 등을 지원하는 민선 8기 핵심 농업정책이다.
이날 간담회에는 경기도친환경학교급식운동본부, 경기도학교급식지원센터협의회, 정치하는엄마들, 전국한우협회 서울인천경기도지회, G마크축산물학교급식협의회, 경기도친환경농업인연합회 등 시민사회단체 공동대책위 관계자들이 참석해 급식 안정성과 공공조달체계의 중요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앞서 김 지사는 경기도교육청의 학교급식 식재료 구매방식을 수의계약에서 경쟁입찰로 전환하는 방안에 대해 시민사회단체와의 갈등 해소에 나섰다. 지난 6일 임태희 교육감에게 조치 보류를 요청했고, 7일 규탄대회에도 참석해 공동대책위 지지를 밝혔다. 이후 면담을 통해 문제 해결을 약속했고, 교육청은 해당 방침을 보류했다.
경기도는 현재 친환경 학교급식 공급학교 3천561곳에 도내 생산 친환경·G마크 인증 농산물을 우선 공급하며, 친환경 농산물과 일반 농산물 간 가격 차액을 보전하고 있다. 지난해 공급량 1만5천645t 가운데 친환경·G마크 농산물은 98%(1만5천276t)였으며, 이 중 친환경 농산물이 54%(8천494t)를 차지했다.
도는 앞으로도 교육청, 시민단체, 도의회와 협력해 친환경 급식체계의 공공성과 지속가능성을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로컬세계 / 고기훈 기자 jamesmedia@daum.net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