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세계 = 전경해 기자] 강원특별자치도는 전국에서 농촌과 산촌 비중이 높은 지역으로, 결혼이민자 등 다문화가정이 지역사회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 도내 다문화가정은 2016년 7,300여 가구에서 2024년 기준 약 1만 가구에 이르렀고, 이들 가정에서 자라는 학생 수도 5천 명을 넘어섰다. 특히 일부 농촌 지역에서는 초등학교 학급의 절반 이상이 다문화 가정 자녀일 정도로 이미 우리 지역의 중요한 구성원으로 자리 잡고 있다.
강원특별자치도는 다문화가정의 안정적 정착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18개 시군에 설치된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통해 한국어 교육, 가족 상담, 통·번역, 자녀 돌봄 등 다양한 통합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다문화 청소년을 위한 학습·진로 지원 프로그램도 함께 운영하고 있다. 다문화가정 지원에 소요되는 예산만 해도 46억 원 규모에 달하며, 이러한 사업들은 정착 초기 다문화가정의 불안정을 완화하는 데 의미 있는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지원이 ‘정착 초기에 국한된 복지 중심 정책’에 머물고 있어, 다문화가정의 중·장기적 자립을 뒷받침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한국어 교육과 문화 적응 이후에도 경제활동을 위한 직업훈련이나 일자리 연계가 부족하며, 특히 출산과 양육 등 각각의 사유로 경제활동에서 단절된 결혼이민자의 경우 노동시장 재진입이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다문화 청소년 역시 진로 설계와 사회 진입을 위한 지속 가능한 프로그램이 부족해 자존감과 정체성의 혼란을 겪는 경우가 많다.
이제는 단순한 복지를 넘어, 다문화가정의 경제적 자립을 지원하는 정책 전환이 절실하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실효성 있는 정책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결혼이민자의 재취업과 자격 취득을 지원하는 ‘재취업 패키지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디지털 기초교육과 자격증 연계 직업훈련, 실습 중심의 인턴십 연계 일자리까지 통합 지원하는 구조를 도입해야 한다. 특히 요양보호사, 제과·제빵, 간호조무사 등 지역 수요와 연계한 자격 기반 직종을 중심으로 체계적인 경로를 마련해야 한다.
둘째, 다문화 청소년을 위한 진로 연계형 맞춤 프로그램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지역 대학 및 기업과 연계한 직업 체험과 멘토링, 특성화고와의 진로반 운영, 다문화 청소년을 위한 장학금 지원 등을 통해 자립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지역사회 기반 다문화가정 일자리 매칭 플랫폼’ 구축도 제안한다. 정부와 지자체 차원의 일자리 매칭 사업이 추진되고는 있으나, 지역 맞춤형·지역 중심형으로 생각을 전환해 지역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거점으로 지역 내 일자리 정보를 통합 관리하고, 농촌 일손 부족, 마을기업, 돌봄 서비스 등 지역 수요와 연계해 다문화 인력을 활용하는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
자립 초기에는 일정 기간 소득 공백을 메워줄 자립수당이나 창업지원금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강원특별자치도의회 역시 도내 다문화가정의 자립과 활발한 경제활동 촉진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회 활동과 세미나 개최 등 다양한 노력을 통해 실효성 있는 정책 제안에 힘쓰고 있다.
강원특별자치도는 저출생, 고령화, 지방 소멸이라는 위기를 안고 있다. 다문화가정은 이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소중한 인적 자원이자, 지역 사회의 미래를 함께 만들어갈 동반자이다. 다문화가정의 경제적 자립은 곧 강원경제의 체질 개선이며, 지역 소멸을 막을 기회이다. 다문화가정이 단지 지역에 ‘머무는’ 존재를 넘어, 당당하게 자립하며 ‘기여하는’ 주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정책의 무게 중심을 ‘정착’에서 ‘자립’으로 옮겨야 할 때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