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산불 확산 저지, 인명피해 예방 및 재산과 산림자원 보호
▲ 5분 자유발언 하는 조성운 의원.(사진=전경해 기자) |
[로컬세계 = 전경해 기자]강원특별자치도의회 조성운(국힘.삼척) 의원은 5일 제333회 정례회 제1차 본회의에서 ‘산기천 기후대응댐의 다목적댐 건설을 촉구하며’를 주제로 5분 자유발언을 했다.
-다음은 발언 전문-
본 의원은 삼척에 건설 예정인 산기천 기후대응댐의 기능에 대한 주민들의 다양한 기대를 소개하고 왜 다목적댐으로 건설해야 하는지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삼척시는 지난해 9월, 도계읍의 생활용수 확보, 오십천의 홍수 예방, 대형산불 차단을 위한 담수지 확보 필요성을 근거로 산기천 기후대응댐 건설을 환경부에 요청하였습니다.
정부는 지난 7월 산기천 기후대응댐을 100만톤 규모의 용수 전용댐으로 건설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하였습니다. 용수 전용댐의 경우, 생활용수만을 목적으로 하고 있어 그 활용이 제한적입니다. 이에 본 의원은 산기천 기후 대응댐을 용수 전용댐이 아니라 물 자원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다목적댐으로 건설할 것을 제안하고자 합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산기천 기후대응댐이 들어설 도계읍은 산불진화 용수 확보가 절실한 상황입니다. 울창한 산림으로 겹겹이 둘러싸인 도계는 산불에 매우 취약한 지역으로 산불 발생 시 진화용 물을 확보할 저수지나 댐이 없고 하천인 오십천은 유량이 적어 진화 헬기에 담수를 공급할 수 없어 산불 진화에 큰 어려움이 있습니다.
최근 10년간 삼척시에서 발생한 대형산불 3건 중 2건이 도계읍에서 발생하였으며, 그 피해액은 432억원에 달합니다. 특히, 2017년 5월 도계읍 점리에서 발생한 대형산불의 경우, 현장의 강한 바람(20~24m/s)과 함께 담수지인 광동댐과 거리(왕복 22km, 16분 소요)가 멀어 진화헬기를 96대(산림청 53, 임차 5, 소방 3, 군 35)나 투입하였음에도 조기 진화에 많은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이에 따라, 산불 대응에 취약한 도계지역의 담수지 확보를 위하여 삼척시는 2019년부터 산불조심기간 동안 도계읍 공설운동장에 이동식 저수조(5만L)를 설치하여 운영 중이며, 2020년 도계읍과 7km 떨어진 신기면 마차리에 특별교부세 15억원을 확보, 가동보(H=1.5m, L=35m)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만, 여전히 대형산불 대응에는 취약한 실정입니다.
산기천 기후대응댐이 설치된다면, 물 공급이 용이하여 신속한 대응으로 대형산불 확산을 저지하고, 인명피해 예방 및 주민들의 재산과 울창한 산림자원을 보호하는데 큰 역할을 할 것입니다.
둘째, 삼척은 가뭄과 홍수 피해가 빈번한 지역으로 다목적댐 건설을 통해 물 자원을 안정적으로 관리해야 합니다. 국가가뭄정보포털에 따르면 삼척시는 최근 10년간('13∼'22) 강원 영동지역에서 비상급수가 2번째로 빈번한 지역으로 안정적 수자원 확보가 절실합니다. 또한 최근 그 발생 빈도가 높아지고 있는 대형 태풍 루사, 매미, 미탁, 마이삭, 하이선 등의 영향으로 대규모 홍수 피해를 면치 못하고 있으며, 침수 피해가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최근 10년간('11∼'20) 그 피해액은 431억원으로 영동지역 최대규모입니다. 다목적댐이 건설된다면, 가뭄이나 홍수와 같은 자연재해로부터 지역 주민과 농업을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입니다.
셋째, 삼척 산기천 기후대응댐 건설은 주민들이 직접 요구한 것으로서 사업추진 시 거부감이 없고, 특히 댐 건설 시 발생하는 수몰 가구도 없어 ‘댐 건설에 최적'이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지역의 필요에도 불구하고, 만약 용수 전용댐으로 사업이 추진된다면 댐 건설에 대한 지방비 부담, 댐 건설 후의 사후 유지관리비의 부담으로 열악한 재정을 가진 삼척에서의 사업추진은 불확실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산기천 기후대응댐은 2025년 상반기 조기 폐광이 예정된 도계읍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다목적댐 건설은 지역경제에 실질적인 혜택을 줄 것이며, 지역의 지속 가능성을 보장하는 강력한 기반이 될 것입니다. 따라서 정부는 강원자치도민의 산불진화 용수 확보의 중요한 역할을 감안한 다목적댐 건설 요구에 적극적으로 응답해 주기를 촉구합니다.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