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평창 패럴림픽 성화봉. (사진=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및 동계패럴림픽 조직위원회) |
인간의 무한한 잠재력을 통해 전 세계인의 화합을 이끌어 낼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대회의 성화가 2018년 3월 2일 불을 밝힌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및 동계패럴림픽 조직위원회는 8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 외신기자클럽에서 평창 패럴림픽 성화봉송 경로와 성화봉송 주자 선발계획 등을 발표했다.
패럴림픽 성화봉송은 올림픽 대회에 이어 패럴림픽 대회의 시작을 알리는 첫 번째 공식행사이자 국민의 성화봉송 참여를 통해 전국에 패럴림픽 분위기를 조성하는 사전 홍보 행사이다.
1988년 서울 장애인올림픽에서 진행된 이후 30년 만에 패럴림픽대회 사상 최초의 성화봉송이 다시 대한민국에서 불을 밝히게 됐다.
동계패럴림픽대회 성화봉송의 슬로건은 평창 동계올림픽 성화봉송과 똑같은 ‘모두를 빛나게 하는 불꽃(Let Everyone Shine)’이다.
꺼지지 않는 패럴림픽 성화의 불꽃이 언제나, 어디서나,누구에게나, 꿈과 열정 그리고 미래를 비춰준다는 뜻이다. 모두는 대한민국 국민과 아시아를 포함한 전 세계인, 동계패럴림픽을 즐기고 사랑하는 모든 사람들, 그리고 빛나는 잠재력을 가진 모든 사람을 뜻한다.
2018 평창 패럴림픽대회의 성화봉송은 인간의 무한한 잠재력(∞)의 힘을 상징하는 총 8일 간의 여정이다.
성화는 2018년 3월 2일 대보름 행사가 열리는 국내 5개 권역인 제주도, 안양시, 논산시, 고창군, 청도군을 비롯해 3월 3일 패럴림픽의 발상지인 영국 스토크맨더빌 등 해외 도시와 서울에서 채화된다.
8개 도시에서 채화를 마친 성화는 1988년 세계 최초 패럴림픽 성화가 간직된 장소인 서울 올림픽공원 평화의 문 광장에서 ‘최초’의 의미를 담은 합화 행사가 열린다. 해외 도시에서 채화된 성화는 영상으로 합화에 참여한다.
합화식은 열정과 화합의 불꽃이 모이는 ‘빛의 중심(Center of Shining)’을 주제로, 전 세계인들에게 소망의 메시지를 전하게 된다.
![]() |
▲(사진=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및 동계패럴림픽 조직위원회) |
총 봉송 구간은 평창 동계패럴림픽대회의 성공을 기원하는 2018km이다. 성화는 합화 후 5일간 강원도의 주요 도시를 돌면서 1988년 시작된 패럴림픽 성화봉송의 정신을 전할 계획이다.
성화가 지나가는 지역마다 화려한 축제가 펼쳐지며 붐 조성에 나선다. 서울, 춘천, 원주, 정선, 강릉, 평창에서 각각 열리는 축하행사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구분 없이 즐길 수 있는 열린 무대로 꾸며진다.
‘무장애’ 성화봉송 실현을 위한 보조로봇 '워크온' 등 각종 창의적 첨단 이동수단을 활용할 예정이다. 조직위는 성화봉송로 구성 시 장애인과 노약자, 유아 동반 여행 등 누구나 불편 없이 이용할 수 있는 전국의 ‘무장애 여행지’를 선정했다. 봉송 수단도 장애인 주자가 언제 어디서든 편안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최첨단 이동수단을 활용, 장애 극복에 대한 평창 패럴림픽의 의지를 보여줄 계획이다.
성화는 2018년 3월 9일 개회식장 성화대에 점화되고, 2018년 3월 18일까지 10일간 펼쳐지는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대회를 열정의 불꽃으로 밝히게 된다.
2018 평창 패럴림픽대회 성화봉송 주자는 총 800명이다. 동행을 상징하는 2인 1조로 구성돼 봉송을 진행한다. 800명의 주주자 외에도 218명의 지원 주자를 별도로 선정한다.
이희범 조직위원장은 "우리나라에서는 30년 만에 열리는 패럴올림픽과 성화봉송은 세계 최초의 패럴림픽 성화봉송이 1988년 서울대회에서 시작됐다는 점에서 매우 뜻 깊은 행사"라면서 "평창 패럴림픽 성화봉송은 장애인과 비장애인 간의 벽을 없애는 화합과 동행의 장을 태마로 모두를 빛나개 하는 불꽃의 여정을 담을 것"이라며 국민들의 참여와 성원을 당부했다.
한편 이날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대회 성화봉송 언론 설명회에서 가수 션이 2018 평창 동계올림픽대회 및 동계패럴림픽대회 홍보대사로 위촉됐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