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십년 일관성 있게 사군자 탐구, 한국 대표 문인화가로 자리매김”
타계 30주년 맞아 16일부터 28일까지 대구문화예술회관에서 회고전
![]() |
▲천석 박근술 화백 |
박 화백은 이에 앞서 지난달 ‘석재 서병오 기념사업회’가 주최하는 ‘2023 석재문화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박 문인화가는 1937년 경북 선산에서 출생했다. 대륜 중·고교를 거쳐 경북대 사범대학 지리과를 졸업하고, 영남대 대학원 미술과 석사과정을 마쳤다.
대구고 미술교사 시절인 1976년 대한민국미술대전(국전)에서 국무총리상을 수상하며 전국에 이름을 알렸고, 한양여자전문대학 교수로 자리를 옮겨 본격적으로 중앙 무대에서 한국 대표작가로 활발한 활동을 했다.
6회의 개인전과 국립현대미술관 초대작가전, 대한민국미술대전 등 수많은 전시회와 심사에 참여했으며 '운미 난화와 예술성 고찰', '추사 난화의 미학적 고찰', '임희지 난화의 예술성 고찰', '석재 서병오 생애와 사군자' 등 이론 연구에도 관심을 갖고 성과를 이뤄왔으나, 만 56세로 작고했다.
![]() |
▲ 천석 박근술, 8폭 대나무 병풍, 137x69cmx8. 석재 서병오기념사업회 제공 |
김진혁 석재 서병오기념사업회 회장은 “민족 미술인 수묵의 문인화가 조선후기 추사 김정희로부터 대원군 이하응을 거쳐 석재 서병오에 와서 큰 산맥을 이루었고 죽농 서동균으로 이어졌다”며 “현대에 와서는 죽농 서동균의 제자인 천석 박근술이라는 칼보다 푸른 기개를 품은 대나무 작품에서 그 정점의 봉우리를 만들었다”라고 평가했다.
김 회장은 이어 “수십년 동안 일관성 있게 사군자에 대한 탐구와 노력으로 한국의 대표 문인화가로 나아간 그를 올해 수상자로 결정했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