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마을공동체 만들기’ 시동
공동체 돌봄지원·마을숲 조성·마을기업 육성 등 35개 지원사업 발표
-
지난해 9월25일 당시 박원순 서울시장 후보가 마포구 성미산마을극장에서 열린 ‘성미산마을 주민들에게 듣는다. 우리가 시장이다’ 행사에 참여해 주민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 서울 강북구 삼각산 ‘재미난 마을에선 1998년 공동육아협동조합이 자생적으로 생겼다. 그후 부모들이 자녀를 위해 대안학교를 만들었다. 현재까지 주민 600여 명이 참여하는 마을 극장·도서관·문화공간 등 다양한 공동체사업이 운영되고 있다.
# 서울 마포구 성미산엔 공동육아어린이집, 협동조합 형태의 방과후교실 배움터, 160여 명의 학생들이 재학중인 12년제 대안학교가 있다. 마포두레생협, 동네부엌(반찬가게), 작은나무(카페), 성미산 밥상(식당) 등이 주민주도로 운영되고 있다. 생협의 경우 조합원 수만 3500가구에 이를 정도다.서울시가 박원순 시장의 핵심공약인 ‘마을공동체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박 시장이 그동안 구상·추진해온 시민주도의 ‘사회적경제’ 활성화의 일부다. 마을기업·협동조합·사회적기업 육성 등과 맞물리는 정책으로, ‘주민 주도의 풀뿌리 자치’ 실현이라는 의미도 갖고 있다.
시는 공동체 돌봄지원·마을기업 육성·도시농업 지원·마을숲 조성·아파트 마을공동체 활성화·나눔장터 운영·한뼘공원·마을예술창작소 등 35개 사업이 담긴 ‘마을공동체 지원사업’ 계획을 2일 발표했다. 사업은 복지·경제·문화공동체 및 마을 토대 만들기 등 크게 4가지 시책으로 분류되며 단계적으로 725억원이 투입된다.
시는 지난 3월15일 ‘마을공동체 만들기 지원 조례’를 공포·시행해 사업 근거를 마련했다. 6월에는 은평구 녹번동에 서울시 마을공동체 종합지원센터가 개관한다. -
주민 스스로 만들어가야 성공
시에 따르면 관 주도의 하향 추진방식에서 벗어나 지역민이 주체가 돼 제안하고 주도하는 방식으로 꾸려나갈 예정이다. 이를 위해 공모제가 아닌 ‘연중 주민제안방식’으로 추진해 참여의 폭을 넓히고자 했다.
권우정 서울혁신기획관 주무관은 “지역민으로부터 역량을 끌어내기 위해선 건물을 짓거나 물적 지원만 하는 것보다 홍보와 교육이 더 중요하다”며 “낙후된 지역을 일방적으로 개발하는 사업이 아니다. 도시화과정에서 잊혀져간 사람간의 관계망을 복원하고 경제와 문화를 아우르는 종합적인 활동”이라고 강조했다.
시는 구체적 지원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마을공동체를 씨앗마을-새싹마을-희망마을의 3단계로 분류했다. 씨앗마을은 마을내 커뮤니티 형성이 안 된 초기 단계로 일꾼 양성, 사업 발굴 및 컨설팅 등이 추진된다. 새싹마을은 주민의 욕구와 의지가 조성돼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단계로, 현장조사를 통해 지원규모를 확정하고 사업계획을 실행하는 단계다. 마지막 희망마을은 재정 지원이 없어도 자체적으로 복합적인 시도를 통해 더 발전된 단계로 나아갈 수 있는 공동체를 의미한다.
외국 및 국내 우수 사례에 의하면 ‘공동육아’의 필요성이 모티브가 된 경우가 많다. 마을공동체 형성은 주민필요에 따라 자연스럽게 사업이 추진될수록 발전한다는 것이다. 공동육아에서 시작한 공동체 활동은 건강한 먹거리를 위한 텃밭, 마을도서관, 대안학교, 마을기업 등으로 점차 진화해간다.
유창복 성미산마을 대표는 “목적을 갖고 인위적으로 만드는 것은 아니다”라며 “생활의 필요를 함께하며 자원을 조달하고 서로 노력해서 만드는 것이다. 의지가 있는 이들에게 필요한 연결을 해주는 등 컨설팅과 교육이 중요하다”고 활성방안을 꼽았다.
마을공동체가 활성화되면 지역내 고용이 활성화 되면서, 연대와 자립의 토대가 마련된다. 마을내에서 다양한 체험프로그램과 문화적 토대까지 갖추면 관광객들을 불러들여 근로 외 소득을 창출할 수도 있다. 올해 12월1일부터 시행되는 ‘협동조합기본법’도 마을공동체 사업에 힘을 싣고 있다. 5인 이상만 모이면 공동으로 소유하고 운영하는 협동조합기업 설립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마을공동체가 의지나 지원만으로 손쉽게 형성되는 것은 아니다. 2일 서울시의 발표가 있었음에도 문의가 전무한 실정이다. 앞으로 시는 토대 구축과 교육 및 홍보에 주력할 방침이다.
유창복 대표는 “생산과 소비 등 사람의 일생이 마을 안에서 이뤄진다”며 “작은 생활 단위의 이웃 관계망이 복원돼야 가진 것 없는 이들도 대도시에서 함께 살아갈 수 있다. 정부지원만이 능사는 아니다. 사업비보다는 주민의 필요와 의지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신상미 기자 uncanny@segye.com
- 기사입력 2012.05.11 (금) 11:25, 최종수정 2012.05.14 (월) 10:08
- [ⓒ 세계일보 & localsegye.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