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1일 서울 청운동 청와대 인근에서 삼척레미콘협회 관계자들이 삼척화력발전소 조기착공을 해달라고 호소하고 있다. |
포스파워 삼척화력발전소 찬성 삼척시민단체는 지난 6월 8일 세종정부청사 앞에 조기 착공 결의대회를 갖고 결의문를 관련부처에 전달한데 이어, 6월14일에도 인허가 촉구와 시민들의 염원이 담긴 건의문을 국민인수위원회, 청와대 등에 전달했다.
삼척시 레미콘협회 30여 명은 21일 청와대 인근에서 삼척화력발전소 건설의 당위성과 건설 촉구에 대한 지역 여론을 강력히 주장하는 집회를 갖고 "삼척화력발전소 건설 촉구 호소문"을 청와대 민원실에 접수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삼척화력발전소는 2012년 정부의 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삼척시의회의 만장일치와 지역주민의 96.7% 찬성한 사업 유치된 삼척화력발전소에 대해 정부의 일관성 없는 정책에 대한 불신과 큰 실망감으로 삼척시민은 대혼란과 경제적 피해를 입고 있다. 또 찬반 갈등으로 인해 많은 정신적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 |
▲김상찬 삼척시 시의회 전 의장이 포스파워 삼척화력발전소 건설촉구 호소문을 낭독하고 있다. |
특히 "국내 미세먼지 원인이 70~80%는 중국 발 미세먼지 그리고 제조업, 경유 자동차다. 전국 석탄화력발전소는 미세먼지 3~4% 남짓 정도다. 석탄화력발전소가 미세먼지 주 원인로 삼아 미세먼지 99.63% 잡아내는 삼척화력발전소를 이제 와서 못 짓게 한다면 삼척시민들은 뭘 먹고 살아가냐"며 성토했다.
그리고 국책사업인 삼척화력발전소가 인구감소하는 삼척의 지역경제를 활성화 시키고 청년 일자리 창출로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조속한 사업승인을 해달라고 대통령에게 호소했다.
아울러 삼척시 사회단체는 이에 그치지 않고 21일부터 오는 30일까지 각 단체별로 광화문 광장에서 상경 집회를 갖고 화력발전소 인허가 및 조기 착공을 위한 촉구를 이어나가기로 했다.
한편 4조1000억원을 투자해 2100MW 규모로 건설 계획중인 포스파워 삼척화력발전소(포스코 에너지 자회사)는 지난 4월 20일 최대 난관이었던 해역 이용 합의안이 삼척시와 체결함으로써 건설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했으나,새 정부의 미세먼지 정책이 아직 결정되지 않은 탓에 산자부로부터 최종 인허가를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