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사드 배치 항의 차원 가능성 제기
개성공단 문제 불거질 경우 대외 투자 유치 악영향 판단했을 수도
![]() |
▲ 북한이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의 개성공단 방문을 돌연 취소하며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대외 노출에 대한 부담과 미국의 사드 관련 발언에 대한 항의성일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사진은 지난 19일 오후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열린 세계교육포럼 개회식 참석 모습. <사진출처=청와대 홈페이지> |
반 총장은 오늘(20일) 오전, 서울디지털포럼에 참석한 자리에서 “오늘 새벽 북측이 갑작스럽게 외교 경로를 통해 저의 개성공단 방북허가를 취소한다고 알려왔다”고 전했다.
반 총장에 따르면, 북한은 방북 허가를 취소하며 별다른 이유 설명이 없었다.
어제(19일)까지만 해도 반 총장의 개성공단 방북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 보였던 북한의 갑작스러운 방북 허가 취소 이유에 대해 갖가지 추측이 나오는 상황이다.
우선 반 총장의 개성공단 방문이 인권 문제와 관련한 대외 이미지 개선에 크게 도움이 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했을 수 있다.
자칫 반 총장의 방북으로 세계의 이목이 북한에 집중될 경우 오히려 인권문제 등이 더욱 부각될 우려가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또한, 미국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 사드) 한반도 배치에 대한 항의성일 수 있다.
프랭크 로즈 미국 국무부 군축검증이행담당 차관보는 지난 19일(현지시각) 한 토론회에서 사드 포대의 한반도 영구 주둔에 대해 언급했다. 이에 대한 불편한 심기를 나타냈을 가능성이 있다.
아울러, 최근 악화되고 있는 남북관계, 특히 개성공단 북측 근로자들의 임금문제를 둘러싼 갈등이 해외 언론에 노출될 경우 향후 대외투자 유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 또한 고려했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북한의 갑작스러운 방북 허가 취소에 대해 반 총장은 유감의 뜻을 나타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