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세계 라안일 기자]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6년 동안 후쿠시마산 식품 407톤이 국내 수입된 것으로 드러났다. 인근 중국과 대만 등이 후쿠시마에서 생산된 모든 식품의 수입을 중지한 것과 상반돼 엄격한 제한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최도자 의원(국민의당)은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제출한 ‘원전사고 이후 후쿠시마 식품 수입 현황’을 제출받아 19일 이 같이 밝혔다.
![]() |
▲‘수입식품 방사능 안전관리 정책 설명회’가서울지방청 대강당에서 열리고 있다. |
식약처는 2011년 일본 대지진으로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사고가 발생하자 농산물 등 일부 식품에만 수입 중지 결정을 내렸다.
그 결과 873회에 걸쳐 후쿠시마 식품 407톤이 국내로 수입됐다. 품목별 수입현황을 보면 수산물 가공품이 873건, 233톤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두 가지 이상의 식품첨가물이 섞여있는 혼합제제는 51.3톤 수입됐고, 캔디류 4톤, 청주 3.3톤, 기타 식품첨가물 1.9톤 등이 수입됐다.
연도별로 보면 원전사고가 있었던 2011년에 9.4톤에서 2012년 6.4톤으로 줄었지만 2013년 6.3톤, 2014년 6.1톤, 2015년 6.9톤, 2016년 상반기 5.4톤으로 비슷한 수준의 수입량이 유지되고 있다.
이는 우리 정부가 후쿠시마산 식품에 대해 수입중지를 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은 농산물 19개 품목과 사료, 수산물에 대해 수입중지하고 있는데, 이웃 나라인 중국과 대만 등 총 3개국은 일본 후쿠시마에서 생산된 모든 식품에 대해 수입을 중지하고 있다.
우리 정부는 일본 정부의 방사능 검사증명서와 국내 검역 시 정밀검사를 실시해 후쿠시마 식품이 안전하다는 입장이지만 후쿠시마는 여전히 방사능 유출로 접근조차 불가능한 지역이 존재하고 일본의 다른 지역에서도 방사능 영향이 우려되고 있다.
같은 기간 한국에 수입됐다가 방사능이 검출돼 일본으로 전량 반송되는 수입 식품은 187건, 197.6톤으로 집계됐다.
이 같은 우려 때문에 우리 국민들은 일본산 수입 식품에 대해 보다 엄격한 제한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한국소비자연맹에 2014년, 2015년 등 2차례에 걸쳐 조사한 ‘방사능 국민 인식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 국민들은 정부의 방사능 관련 정보를 믿지 않고 일본산 수산물도 사지 않겠다는 답변이 많았다.
방사능 불검출이 되더라도 일본산 수산물을 구매하지 않겠다는 응답자가 2014년에는 68.8%, 2015년에는 67.6%로 유사한 수준이 지속됐다. 또한 방사능 정보에 대해 한국 정부를 신뢰한다고 밝힌 국민은 2014년 13.3%, 2015년 13.1%에 불과했다.
최도자 의원은 “우리 국민들이 원전 사고 지역인 후쿠시마현에서 생산된 식품을 꼭 먹어야 할 이유가 없다”며 “국민의 식탁에 올라가는 먹거리 안전은 식약처가 강력한 의지와 단호한 입장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