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세계 조윤찬 기자]5월 한 달 동안 중소규모 건설현장을 대상으로 추락예방 기획감독을 실시하며 4월부터 추락예방을 위한 안전캠페인이 전개된다.
고용노동부는 지난해 건설현장에서 작업 중 사고로 사망한 근로자는 499명이며 이 가운데 추락 사망자가 281명으로 전체사고의 56%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됨에 따라 추락 사고를 줄이지 않고서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사망재해를 줄이기 어렵다고 보고 기획감독을 실시한다고 6일 밝혔다.
내달 실시되는 감독은 안전관리가 취약한 주택, 상가, 공장 신축공사 등 중·소규모 건설 현장을 대상으로 외벽 작업발판(외부 비계), 안전난간, 추락방지망 등 안전시설 설치 상태, 근로자 보호장구 착용여부 등 추락 예방조치에 대해 집중 점검이 실시된다.
점검결과 추락예방에 필요한 5대 가시설물(작업발판, 안전난간, 개구부 덮개, 사다리, 이동식비계)과 관련한 안전조치 위반사항에 대해서는 작업중지.안전진단명령은 물론 사법처리 등 엄정 조치하고 개인 보호구 착용 위반 여부에 대해서도 강력하게 조치할 방침이다.
고용노동부는 기획감독에 앞서 이달 한 달 간 계도기간을 두고 사업주 스스로 추락위험 장소에서의 안전시설을 충분히 설치할 수 있도록 기술자료를 보급하며 전국 건설현장의 추락사고 예방 분위기 확산을 위해 안전보
건공단, 민간재해예방단체 및 건설업계가 참여하는 추락재해예방 결의대회 개최, 방송 및 온라인 매체 홍보 등 다양한 행사를 전개할 계획이다.
오복수 대전고용노동청장은 “건설재해의 형태 중 추락재해가 큰 비중을 차지함에도 현장에서 작업발판 및 안전난간 설치가 미흡한 현실”이라며 “앞으로 건축물 외부 비계에 작업발판 및 안전난간이 적절하게 설치되도록 지도·감독해 나가되 중·소규모 건설현장에 대해서는 추락재해 예방에 필요한 기술과 추락방지시설 설치비용을 적극 지원해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