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대 여성 환자 급격히 늘어 '주의 요망'
10대 최근 5년간 45.9% 가장 높은 증가율…매년 10% 가까이 증가
최근 5년 간 ‘고지혈증’ 진료인원이 연평균 9.7% 씩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지혈증’질환 연도별 진료현황 추이를 분석한 결과, 고지혈증으로 진료를 받은 인원은 2016년 177만 명으로 2012년 122만 명 대비 44.8% (55만 명) 증가했다. 또 진료인원 연평균 증가율을 살펴보면 9.7%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20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해 최근 5년 간(2012~2016년) 건강보험 적용대상자 중 ‘고지혈증’ 질환으로 요양기관을 이용한 진료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 |
▲진료실인원수 대비 진료비.(자료제공=국민건강보험공단) |
2016년 기준 ‘고지혈증’으로 인한 진료비 지출은 3745억원으로 2012년 2327억원 대비 60.9%(1418억원) 증가해, 연평균 12.6% 증가율을 보였다. 입・내원일수는 2016년 559만 일로 2012년 369만 일 대비 51.4%(189만 일)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60대 인구 10명 중 1명은‘고지혈증’앓는 중
2016년 기준으로 고지혈증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 수를 연령대별 인구수를 고려한 ‘인구 10만 명 당’진료인원을 분석해 본 결과, 가장 많은 연령대는 60대로 9702명이었다. 뒤이어 70대 7450명, 50대 7175명 순으로 중·장년층의 인구대비 ‘고지혈증’환자 수가 많았다.
![]() |
▲인구 10 만 명 당 ‘고지혈증’ 진료실 인원수. |
‘인구 10만 명 당’ 진료인원의 최근 5년간 진료 추이를 살펴보면, 2016년 전체 평균 3503명으로 2012년 ,474명 대비 41.6%(1029명) 늘었다.
특히 10대 연령대가 최근 5년간 45.9%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고, 연평균 증가율도 매년 10%에 가까이 증가하고 있어 청소년들의 건강관리의 필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오성진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심장내과 교수는 10대에서 매년 10%에 근접하게 증가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서구식 생활 습관과 함께 건강 검진 등으로 예전보다 고지혈증에 대한 검사가 보편화되어 과거에 진단되지 않았던 젊은 환자들이 진단되고 있는 점”을 꼽았다.
남성보다 여성이 많이 앓는 병 ‘고지혈증’
2016년 기준으로 ‘고지혈증’ 질환의 성별 진료현황을 살펴본 결과, 2016년 전체 진료인원 177만 명 중 남성 진료인원은 70만 명, 여성 진료인원은 107만 명으로 여성이 남성의 1.5배(약 37만 명↑) 더 많았다.
![]() |
▲2016년 전체 진료인원 177만 명 중 남성 진료인원은 70만 명, 여성 진료인원은 107만 명으로 여성이 남성의 1.5배(약 37만 명↑) 더 많았다. |
10대부터 40대까지는 ‘고지혈증’으로 인한 남성 진료인원이 여성 진료인원보다 더 많았다. 30대의 여성 진료인원이 남성 진료인원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반면, 50대 이상에서는 여성 진료인원이 남성 진료인원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60대에서 10만 명 당 여성 진료인원이 남성 진료인원의 약 두 배였다.
![]() |
▲성비(여자/남자) |
30대부터 60대까지 인구 10만 명 당 진료인원이 계속 증가했다. 60대 여성은 100명중 13명이 ‘고지혈증’을 앓고 있어 60대 연령대에서 성별을 불문하고 인구구성 대비 가장 많이 고지혈증을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성별로 40대와 50대를 비교해 보면, 남성 인구 10만 명 당 진료인원은 40대 3702명에서 50대 5095명으로 1393명(1.4배) 늘어난데 비해, 여성 인구 10만 명 당 진료인원은 40대 2596명에서 50대 9277명으로 6681명(3.6배) 늘었다.
중년여성이 40대에서 50대로 이행되는 시기에 인구 10만 명 당 ‘고지혈증’ 진료인원 증가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 시기의 여성들의 건강관리가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오성진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심장내과 교수는 "40대에서 60대 연령대 구간에서 ‘고지혈증’ 질환의 여성 진료인원의 증가가 두드러지고 있다"며 "특히 이 연령대 폐경전의 여성은 남성보다 고지혈증의 빈도가 낮은 것이 일반적이나 폐경후의 여성에서는 여성호르몬의 영향으로 오히려 동 연령대의 남성보다 더 문제가 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고 말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