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세계 이서은 기자] 미래창조과학부와 국방부, 국가정보원은 관계부처 간 사이버보안 연구개발(R&D) 공동 추진 및 기술·인력 교류, 성과 확산 등 사이버보안 R&D 협력 강화를 위한 ‘국가 사이버보안 R&D 조정 협의회’를 구성하고 오늘(21일) 정부과천청사에서 발족식을 개최했다.
사이버위협은 날로 지능화·은밀화되고 있으며, 사물인터넷(IoT)·클라우드 등 신규 정보통신기술(ICT) 융합이 가속화됨에 따라 사이버위협은 국가 안보와 국민생활의 안전까지도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사이버위협에 근본적인 대응을 위해서는 사이버보안의 핵심 근간이 되는 원천기술을 개발하고, 세계 최고 수준의 보안기술·제품을 확보하는 등 국가 차원의 사이버보안 기술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최근에는 지능형지속공격(APT) 등 사이버위협이 점점 고도화되면서, 이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을 위해 암호 알고리즘이나 생체인증 등 원천 보안 기술부터 악성코드 분석 및 지능형 보안관제 등 응용 보안기술까지 다양한 보안기술이 유기적으로 연계·융합되는 ‘통합·융합보안 연구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국가 사이버보안 R&D 조정 협의회’를 통해 부처 간 공동 기술개발 및 기술·인력 교류, 연구장비 공동 활용 등 R&D 협업을 강화하여 기존에 단품·파편화된 기술개발 위주의 R&D 추진 체계를 극복하고, ‘사이버보안 기술예고제’ 등 국가 R&D 성과의 민간 확산 및 부처 간 R&D 성과공유를 적극 추진해 글로벌 사이버보안 기술 경쟁력을 제고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각 부처가 사이버보안 R&D 과제를 공동으로 발굴하고, 기획단계에서부터 유사·중복성을 검토할 수 있게 돼 국가 차원의 사이버보안 R&D 추진 효율성도 크게 향상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