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착자의 '문제 음주' 치료, 재범방지 목적
![]() |
▲부산보호관찰소(소장 이영면)는 12일 전자장치 피부착자의 문제 음주를 치료하여 재범을 방지하고자 부산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센터장 김성곤)와 업무 협약을 체결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부산보호관찰소 제공 |
[로컬세계 부산=전상후 기자]부산보호관찰소는 12일 전자장치 피부착자의 '문제 음주'를 치료해 재범을 방지하고자 부산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일명 ‘전자발찌’를 차고 있는 피부착자들은 성폭력, 살인, 강도 사범들이 많고, 범죄 전력을 살펴보면 이들 중 상당수가 음주와 관련돼 있다.
음주 상태에서 범죄가 일어나 전자발찌를 차게 되면 0.03% 등과 같이 일정량 이상 음주하지 못하도록 통상 준수사항이 부과된다.
보호관찰관은 이들이 유흥지역에 있거나 음주할 가능성이 높다고 의심되면 즉시 현장으로 출동, 음주 측정을 진행한다.
지난해 보호관찰소는 음주제한 준수사항 위반으로 전국에서 430여명을 적발했고, 이들은 징역이나 벌금 등으로 처벌받았다.
보호관찰소는 불시 음주측정 등 엄정한 관리·감독과 더불어 피부착자 스스로 음주 문제를 인식하고 금주하도록 유도하는 게 유효하다고 판단, 이날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협약을 맺었다.
부산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는 보건복지부와 부산광역시가 설치하고 부산대학교병원이 위탁 운영하는 중독 전문상담기관으로 2002년 개소했다.
이 지원센터는 부산 시민을 대상으로 중독예방 교육, 상담, 사례관리 등 전문적인 도움을 제공한다.
이영면 부산보호관찰소 소장은 “전자발찌 피부착자의 '문제 음주' 치료에 협력해주신 부산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에 감사드리며, 앞으로도 피부착자가 사회에 피해를 입히지 않도록 이들을 엄정하게 관리해 나갈 것임을 약속드린다”라고 말했다.
부산보호관찰소는 전자장치 피부착자의 재범 방지를 위해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 유관기관과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갈 방침이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