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세계 박세환 기자] 대구시는 올해 고용노동부 지역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사업 공모에서 선정된 2개의 프로젝트사업을 포함한 11개의 사업을 17개 기관(주관기관 7, 참여기관 10개)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추진하고 있다.
올해 사업의 특징은 청년중심의 전문교육을 집중지원하고 초기창업 지원, 산업단지 고용환경개선 등의 직·간접 일자리창출 지원도 포함됐다.
포스트창업성공패키지사업은 ‘창조경제, 창업도시 대구’ 의 정책비전에 부응해 창업 후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들의 지속적인 성장과 생존율 제고를 위해 제품·브랜드 디자인 개발, 시장진출 상품화, 전시참가 등을 패키지 형태로 지원하고 초기 창업기업이 필요한 특화된 인력을 양성하는 데 도움을 준다.
청년이 선호하는 지식·문화 서비스 일자리창출 사업은 취업에 유리한 전산사무(CTA, SCM ERP 등)를 교육하는 ‘비즈니스서비스 전문인력양성’, 도시재생산업의 전문코디네이터를 양성하는 ‘청년 도시문화닥터 일자리창출사업’, 광고기획업계 취업을 준비할 수 있는 ‘빅아이디어아카데미’가 기업의 현장교육으로 이뤄져 청년들이 관심을 가질만하다.
또한 ‘SW융합 창조경제 일자리창출 지원사업’은 임베디드, 사이버보안, 모바일 게임, 모바일앱, 글로벌온라인마케팅, 시스템엔지니어링, 모바일융합 프로그래밍 등 분야에 200여명의 전문인력을 집중 양성한다.
권영진 시장은 “변화와 혁신을 위해서는 인재의 투자가 필요하며, 대구시는 구직자의 취업경쟁력 제고와 기업의 인재확보를 위한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나갈 것”이라고 했다.
한편 동 사업의 단위사업별 세부내용과 참여를 위한 문의는 대구광역시 홈페이지(www.daegu.go.kr) 공지사항에서 내려 받을 수 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