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세계 오영균 기자]대전YWCA, 소비자환경위원회는 22일 대전원자력연구원 정문 앞에서 ‘사용후핵연료 재처리실험계획 전면 취소 촉구’ 기자회견을 가졌다.
![]() |
▲22일 오전 한국원자력연구원 정문 앞에서 차명희 대전YWCA 소비자환경위원장을 비롯해 대전YWCA 유덕순 사무총장, 소비자환경위원회 등 시민단체 관계자들이 ‘사용후핵연료 재처리실험계획 전면 취소’촉구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오영균 기자 |
이날 기자회견은 차명희 대전YWCA 소비자환경위원장을 비롯해 대전YWCA 유덕순 사무총장, 곽성희소비자위원, 이주여성 등 50여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원자력연구원의 사용후핵연료 조사시험과 파이로프로세싱 등 재처리 실험계획을 전면 중단 ▲신고리 5·6호기 건설계획 취소 ▲원자력안전위원회의 대전 핵시설에 대한 특별점검을 실시 및 3자 검증 등을 요구했다.
차명희 대전YWCA 소비자환경위원장은 “핵발전소 밀집도 세계1위를 자랑하는 우리나라는 현재 좁은 국토에 총 25기나 되는 핵발전소가 운영 중이며 건설 중인 3기와 건설 예정인 핵발전소 8기까지 합치면 2026년까지 모두 36기의 핵발전소가 들어서게 된다”며 “더군다나 활성단층 지역인 월성, 고리, 신고리에 있는 핵발전소 16기 주변에는 500만 명 이상의 인구가 살고 있다. 그런 위험상황에서도 정부는 신고리 5·6호기 건설계획을 승인해 건설을 강행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 |
▲대전YWCA 회원들이 북대전IC네거리에서 한국원자력연구원 정문 앞까지 사용후 핵연료 실험계획 중단을 촉구하는 도보행진을 벌이고 있다. 오영균 기자. |
이어 “2011년 후쿠시마 핵발전소 사고 이후 우리 국민과 인류 전체는 핵발전소가 얼마나 위험한지 다시 한 번 알게 됐다”며 “그럼에도 정부는 후쿠시마의 교훈을 망각한 채 핵발전소 건설을 계속하고 있다. 핵연료 공장, 연구시설 등 핵 위험을 확대하는 연구개발에 막대한 세금을 낭비하고 있다. 지역 주민의 의사를 무시한 고준위 핵폐기물 관리계획도 일방적으로 강행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대전에서는 고준위 핵폐기물을 이용한 연구를 수십 년째 진행했으나 인근 주민들은 그 사실조차 알지 못한 채뒤늦게 알려져 충격을 주고 있다. 인구 150만 대도시 한복판에 사용후핵연료(고준위방사성폐기물)와 손상핵연료가 1987년부터 다수 운반돼 각종 실험에 사용되고 보관해 왔다는 것은 대전시민의 건강과 안전을 완전히 무시한 것이나 다름없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한편 대전YWCA는 핵발전소의 문제, 고준위방사성 폐기물 처리 문제, 대전의 사용후핵연료 안전문제를 전국 방방곡곡으로 알리고 다양한 계층의 시민들을 만나 ‘핵발전소 없는 대한민국’을 만들자고 설득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