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협중앙회와 업종별 수협 등으로 이뤄진 남해 EEZ 모래채취 대책위와 한국수산업총연합회, 부산경제살리기시민연대 등은 이날 8일 부산공동어시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레미콘업계가 ‘골재파동’을 운운하며 바다모래 채취 재개를 압박하고 나선 것에 반발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수협중앙회 공노성 지도경제대표이사와 남해eez대책위원회 정연송 위원장(대형기선저인망수협 조합장), 부산공동어시장 이주학 사장, 한국해상산업노동조합연맹 정태길 위원장, 부산항발전위원회 박인호 대표, 부산항을 사랑하는 시민모임 남임주 운영위원장 등 각계 대표들이 참석했다.
어민들은 레미콘업계와 함께 10년 가까이 바다모래 채취기간 연장을 반복할 뿐 대체방안 마련에 손을 놓고 있는 국토교통부에 대해서도 “헐값에 바다모래를 넘기기에 급급해서 민간업자 이익 대변에만 골몰한다”며 강력 비판했다.
국토부가 당초 항만 건설 등 국책사업을 위해 한시적으로 채취하겠다던 입장과 달리 채취 기간과 규모를 계속 확대하며 바다모래를 민간업자들에게 대량 판매하는 것을 두고 어민들의 분노를 산 것.
어민들은 “바다모래가 싸기 때문에 계속 써야 한다는 게 업자들의 주장”이라며 “국토부가 그동안 어자원고갈과 환경파괴, 어민피해 등에 뒤따른 비용은 감안하지 않은 채 바다모래를 헐값에 넘기면서 골재수급을 왜곡시키고 업자들에게 특혜를 준 것과 다름없다”고 지적했다.
어민들은 레미콘업계 등 건설, 골재 관련 업자들이 골재파동을 주장하며 위기를 조장하는 것에 대해 “헐값으로 바다모래를 써야 이익을 많이 남게 된다는 장삿속에서 비롯된, 대단히 이기적인 주장”이라며 성토하고 나섰다.
이들은 “바다모래가 아니더라도 4대강 사업으로 발생한 준설토를 포함해 쓸 수 있는 골재들이 많다”고 전제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다모래가 없으면 도산하고 건설업계가 무너질 것처럼 곡소리를 내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처사”라며 강도 높게 비판했다.
이어 “골재파동을 운운하는 것은 특정 업계와 소수 업자들을 위해 어민을 착취하고 해양영토를 훼손하는 것을 정당화하려는 파렴치한 주장에 불과하다”며 “바다는 어민 것이기 전에 국민 모두의 것이지 특정 업계나 소수 업자들 것이 아닌데도 마음대로 환경을 훼손하고 이익을 취할 수 있게 하는 것은 특혜나 다름없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