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로컬세계 최종욱 기자]식품의약품안전처는 여름철 수확시기를 맞는 매실 등 과일류 씨앗 등에는 자연독소인 시안화합물이 함유돼 있어 반드시 독성을 제거한 후 섭취할 것을 당부한다고 4일 밝혔다.
시안화합물은 그 자체는 유해하지 않으나, 효소에 의해 시안화수소로 분해돼 청색증 등을 유발하며 가열하면 효소가 불활성화돼 독성이 생성되지 못한다.
이에 따라 덜 익은 매실을 날 것으로 섭취하거나 복숭아, 살구, 사과 등의 씨앗을 섭취했을 경우 어지럼, 두통, 구토, 두근거림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어 올바른 섭취 방법을 익히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살구, 복숭아, 사과 등의 씨앗에는 시안화합물 함량이 높아 식품으로 섭취해서는 안된다.
또 덜 익은 매실의 씨앗과 과육은 모두 시안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어 날 것으로 섭취하지 말고 술을 담그거나 설탕에 절이는 등 시안화합물을 분해시킨 후 섭취해야 한다.
![]() |
이밖에도 은행과 죽순도 반드시 익혀 섭취하고, 아마씨는 200℃에서 20분 정도 볶아 섭취해야 하는데 1회 4g, 하루 16g을 초과해서는 안 된다.
매실주를 담글 경우에도 씨앗에 있는 시안화합물이 알코올과 반응, 발암추정 물질로 분류된 에틸카바메이트라는 유해물질이 생성될 수 있다.
이 유해물질이 나오는 양을 줄이기 위해서는 상처가 없는 신선한 매실을 사용해야 한다.
아울러 알코올 함량이 높을수록 에틸카바메이트의 생성량이 많아지므로 가급적 알코올 도수가 낮은 담금용 술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 온도가 높아질수록 에틸카바메이트의 생성량이 증가하는 만큼 직사광선을 피해 25℃ 이하의 서늘한 곳에 보관해야 한다.
![]() |
식약처 관계자는 “이번 정보 제공을 통해 과일과 씨앗을 보다 건강하고 안전하게 섭취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유해물질에 대한 안전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