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농경지 공공시설 등 피해 규모 약 173억 4600만 원
자원봉사 인력 4,811명 230개소 피해 현장 복구 작업 동참
담양군의회, 재난 예방 및 제도 정비에 의정활동 강화할 것

[로컬세계 = 이남규 기자] 전남 담양군이 이달 중순 내린 기록적인 집중호우로 큰 피해를 입은 가운데, 정부가 담양군을 포함한 6개 지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면서 복구작업에 속도가 붙고 있다.
담양군의회는 피해 복구는 물론, 재난 예방을 위한 제도 정비와 의정 활동을 강화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30일 담양군에 따르면, 지난 7월 16일부터 19일까지 나흘간 평균 538㎜, 최대 615㎜의 폭우가 쏟아졌다.
이로 인해 주택 255동이 침수되고, 농경지 360ha가 피해를 입었으며, 공공시설 150여 곳이 파손됐다. 총 피해 규모는 약 173억460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다행히 이번 폭우로 인한 인명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담양군은 위기 단계 발령과 신속한 현장 대응 등 선제 조치를 통해 최악의 상황을 막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정부는 지난 22일 담양군을 포함한 광주·전남권 6개 시군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우선 지정하고, 국고 지원 체계를 가동했다.
특별재난지역 지정에 따라 공공시설 복구비의 최대 70%까지 국비가 지원되며, 피해 주민들은 지방세 감면, 공공요금 납부 유예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번 피해에 대응해 담양군 내 자원봉사 활동도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담양군에 따르면, 지난 18일부터 29일까지 총 4,811명의 자원봉사 인력이 230개소 피해 현장에서 복구 작업에 동참했다.
정부는 응급 복구를 위한 특별교부세 10억원을 담양군에 긴급 배정했으며, 수해복구 참여자를 위한 왕복 교통 무료 지원과 기업들의 기부 행렬도 이어지고 있다.
담양군의회는 재해 복구 과정의 투명성과 신속성을 확보하고, 향후 재난 재발 방지를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에 집중할 방침이다.
군의회는 특히 하천 정비와 배수시설 개선, 재난 대응 교육 등 예방 중심의 정책이 효과적으로 수행되도록 집행기관과 긴밀히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장명영 담양군의회 의장은 “이번 특별재난지역 지정이 단순한 재정지원에 그치지 않고, 군민 일상 회복의 출발점이 되어야 한다”며 “현장 중심의 감독과 지속적인 제도 개선을 통해 재난에 강한 지역을 만드는 데 의회가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로컬세계 / 이남규 기자 diskarb@hanmail.net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