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명정수장 고도정수처리공정 개선을 위한 공사 기간 중 낙동강 본류 남조류 증식으로 냄새 유발물질 생성
조류경보제 발령지점 물금‧매리지점 유해 남조류 개체수는 6월 1주차 128셀/mL, 2주차 1154셀/mL로 급증 추세
조류경보 발령 시간문제일 듯
▲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는 9일 오전부터 화명정수장 공급계통 수돗물에서 흙냄새 또는 곰팡이 냄새가 난다는 다수의 민원이 접수됏다고 밝혔다. 시청사 전경. 로컬세계 자료사진 |
[로컬세계 부산=전상후 기자]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는 9일 오전부터 화명정수장 공급계통 수돗물에서 흙냄새 또는 곰팡이 냄새가 난다는 다수의 민원이 접수됐다고 밝혔다.
이에 해당지역 수돗물을 채수해 분석한 결과, 화명계통 수돗물에서 냄새유발물질인 지오스민(Geosmin)이 ℓ당 0.053㎍ 검출됐다.
이는 환경부 감시기준 ℓ당 0.02㎍ 보다 3배 가까이 높은 값으로 상수도본부는 사태가 매우 심각함을 인지하고 문제 해결을 위해 고도정수처리 개선공사를 즉시 중지시키고 재난안전문자를 통해 이 사실을 시민에게 알렸으며, 모든 공정이 정상화될 때까지 본부 관련 부서 및 해당 지역사업소에 비상근무를 발령하고 대응을 지시했다.
또 본부는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전오존 투입농도를 높이고, 분말활성탄 투입시설을 가동하며, 이산화탄소 주입 및 고효율 응집제(PACS-2) 투입으로 정수 공정을 강화해 냄새 물질 제거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지오스민(Geosmin)은 오실라토리아(Oscillatoria sp) 등 남조류에 의해 발생하는 맛‧냄새 유발물질로 환경부 먹는물 감시항목이며, 검사 주기는 조류경보제가 발령되면 주 2회, 평시에는 분기별 1회다.
감시항목이란 먹는물 수질기준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나, 먹는물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먹는물 중의 함유실태조사 등의 감시가 필요한 물질을 말한다.
부산시 조류경보제 발령지점인 물금‧매리지점 유해 남조류 개체수는 6월 1주 차 128셀/mL, 2주 차 1154셀/mL로 급증 추세이다.
다만 경보 발령기준인 ‘1000세포수/mL를 2회 이상 연속하여 초과’하지 않아 조류경보제가 발령되지 않은 상태이나 시간 문제로 보인다.
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 관계자는 “남조류가 우점종으로 바뀌는 시점과 고도정수처리 개선공사 기간이 겹쳐 정수처리공정에서 완전하게 제거되지 않아 수돗물에서 검출된 것으로 보인다”며 “지오스민은 인체에 유해성은 없지만 수돗물 음용 시 불쾌감을 줄 수 있으므로 3분 이상 끓여 드시기를 권장한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