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외식창업 시장규모는 43조 원에 이른다. 총 음식점 수만 해도 70만 개에 육박한다. 그럼에도 외식 창업에 대한 관심은 날로 높아지고 있다.가장 많이 도전하고 가장 많이 실패하는 업종도 외식업이다. '할 것 없으면 음식점이나 차려야지'하는 단편적인 생각으로 창업에 도전했다가는 낭패를 볼 수 있다. 전반적인 시장 흐름과 트렌드를 파악하고 충분한 준비과정을 거친 후에 창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외식 창업자들의 평균 학력은 점점 높아만 가고, 기존의 매장 창업주들도 새로운 방식을 도입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다양한 창업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 외식업은 치열한 경쟁 상황에 돌입했다. 판단이 빠른 창업자들은 독보적인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할 바에야 어느 정도 자금 부담을 안고서라도 프랜차이즈 창업에 뛰어들길 바란다. 물론 틀린 생각은 아니다. 현재 프랜차이즈 시장은 점차 가속화, 전문화 되고 있다.
하지만 프랜차이즈 창업이라고 해서 반드시 비용 부담을 감수할 필요는 없다. 애초부터 소규모로 시작해 차츰 규모를 늘려가는 것이 요즘 같은 불황기에는 오히려 적합하다.
게다가 남다른 경쟁력을 가진 프랜차이즈 가운데 가맹비 등 본사 수익을 없애 창업비용을 대폭 삭감한 브랜드도 찾아볼 수 있다. 이런 브랜드를 소규모로 시작할 경우 창업 리스크나 투자금 회수에 대한 큰 부담 없이 창업을 여유 있게 시작할 수 있다. 성공 가능성은 더욱 높아질 수밖에 없다.
1천만 원대 파격적인 창업비용으로 주목받고 있는 '투마리마늘치킨(www.twomari.co.kr)'의 김병만 대표는 "같은 창업비용이라도 순수 본사 수익인 가맹비를 빼게 되면 그만큼 가맹점에 대한 투자가 많아지는 것"이라며 "부담 없는 창업비용에 체계적인 본사 지원까지 받을 수 있으니 굳이 독립 창업을 고집할 필요가 없다. 프랜차이즈 창업자들은 한결 부담을 덜고 사업적 성공에서 한발 빠르게 다가갈 수 있다"고 전했다.
<미디어팀>
- 기사입력 2012.06.04 (월) 14:20
- [ⓒ 세계일보 & localsegye.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