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작성 심방세동 환자의 71.9%, 지속성 심방세동 환자의 49.3%가 2년간 재발없이 안정 상태 유지
-치료 후 두근거림, 피로, 어지러움 등 심방세동으로 인한 증상 감소(75.5%→10.5%)
-좌심방 직경 크기 클수록, 진단 후 시술까지 오래 걸릴수록 재발 위험 높아
-한국 포함한 아시아 지역 심방세동 환자에 대
[로컬세계 = 마나미 기자] 분당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오일영 교수 연구팀이 한국 심방세동 환자들을 대상으로 냉각풍선절제술의 장기적인 효과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심방세동은 심방 내 여러 곳에서 비정상적인 전기 신호가 발생해 불규칙한 박동을 일으키는 부정맥의 한 종류다. 초기에는 짧게 생겼다가 사라지기를 반복하는 ‘발작성 심방세동’으로 나타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사라지지 않고 오래 지속되는 ‘지속성 심방세동’으로 진행하게 된다.
![]() |
▲분당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오일영 교수 |
이에, 오일영 교수 연구팀은 ‘Cryo Global Registry’에 등록된 한국인 심방세동 환자 299명(발작성 심방세동 환자 150명, 지속성 심방세동 환자 149명)을 2년간 추적 관찰하며 냉각풍선절제술 이후 심방세동 재발률, 증상 개선 및 삶의 질 향상 정도와 재발 위험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했다.
연구 결과, 발작성 심방세동 환자의 71.9%, 지속성 심장세동 환자의 49.3%가 냉각풍선절제술 후 2년 동안 심방세동이 재발하지 않고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시술 후 심방세동으로 인한 증상이 감소하고, 환자들의 삶의 질이 전반적으로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술 전에는 75.5%의 환자가 가슴 두근거림, 피로, 어지러움 등 증상을 호소했지만, 시술 후 2년이 지난 시점에는 이러한 증상이 있는 환자의 비율이 10.5%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냉각풍선절제술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심방세동 진단 후 시술까지의 기간과 좌심방의 크기를 제시했다. 심방세동 진단 후 냉각풍선절제술을 시행하기까지 기간이 길어질수록 심방세동 재발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심방세동이 장기간 지속될수록 심장의 구조가 변형돼 재발 위험이 커지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좌심방이 큰 환자일수록 시술 후 재발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좌심방의 직경이 클수록 심장의 전기 신호가 불안정해져 재발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으로, 좌심방의 크기가 큰 환자들에게는 보다 정밀한 치료 계획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오일영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가 한국뿐 아니라, 아시아 지역의 표준화된 심방세동 치료 방침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향후 심방세동 환자들을 위한 맞춤형 치료법 개발에 앞장서 많은 환자들이 더 나은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대한심장학회가 발행하는 국제학술지 ‘Korean Circulation Journal’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